▲ 김홍도, <송하취생도 松下吹笙圖>, 종이에 수묵담채, 109.0 X 55.0 cm,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그림 오른쪽 위에는 '균관삼차배봉시 월당처절승룡음' (筠管參差排鳳翅 月堂凄切勝龍吟) 이라는 글자가 날렵하게 적혀 있다. 무슨 뜻일까.

'길고 짧은 대나무통은 봉황의 날개인가, 월당의 생황소리는 용의 울음보다 처절하네' 라는 대답이 들려온다. 그림 속의 생황 연주자는 주나라의 태자 진(晉)이란다. 정치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산수에만 뜻이 있어 계곡에서 노닐다가 15세 때 한 도사를 만나 생황을 배우고 나더니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가벼렸다는 전설도 있다고 한다.


생황은 어떤 악기일까?

아악에 쓰이는 간악기 중 하나로 일반인들에게 다소 생소하지만 알고 보면 천년 세월을 간직한 천상의 악기로 전해져 온다. 고구려, 백제 시대 때부터 널리 연주됐다는 기록이 '수서'와 '당서' 등에 나타나 있으며 통일신라 때 제작된 오대산 상원사의 동종 비천상에 생황을 연주하는 모습이 섹겨져 있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세종 때 제조된 생황은 회례연에서, 성종 때에는 종묘제례악에서 향비파, 해금, 대금 등과 함께 연주됐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다가 임진홰란과 병자호란 이후 황엽장의 사망 등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생황을 만들 수 없게 되자 중국에서 구입해 연주했다는 내용이 '악장등록'과 '영조실록'에 전한다.



# 아악

좁은 의미의 아악은 조선시대 궁중음악 중 제례음악을 뜻하는 용어였다.

20세기에 들어와 사용된 아악은 민간음악 이른바 민속악의 대칭어로 사용됨으로써 궁중음악을 총칭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됐다.



▲ 김효영 전통악기 생황 연주자


출처 : 서울신문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0312022001)




반응형

'■ 관심 사항 > □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용신) 팔도미인도  (0) 2015.04.15
(김홍도) 지장기마도  (0) 2015.04.15
(김창업) 송시열 초상  (0) 2015.04.10
이진숙의 ART BOOK 깊이 읽기  (0) 2015.04.08
(이명기) 체제공 초상  (0) 2015.04.08



▲ 김창업, 『 송시열 초상 』, 17세기, 비단에 채색, 91x62cm, 제천 황강영당 소장

반응형

'■ 관심 사항 > □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홍도) 지장기마도  (0) 2015.04.15
(김홍도) 송하취생도  (0) 2015.04.12
이진숙의 ART BOOK 깊이 읽기  (0) 2015.04.08
(이명기) 체제공 초상  (0) 2015.04.08
조선시대와 현재의 관직 비교  (1) 2015.04.02

이진숙의 ART BOOK 깊이 읽기


(1) 베레나 크리거의 《예술가란 무엇인가?》

(2) 《간송전형필》과 《명품의 탄생 

(3) 심상용의 《시장미술의 탄생

(4) 재키 울 슐라거의 《샤갈》, 민음사

(5)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1

(6) 이광석의 《사이방가르드》, 안그라픽스, 2010

(7) 최순우의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기대서서

(8) 《풍경에 다가서기

(9) 구보타 시게코와 남정호의 《나의 사랑, 백남준

(10) 매튜 키이란의 《예술과 그 가치

(11) E.H.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

(12) 《오주석의 한국의 미 특강》, 《오주석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1,2

(13) 데이브 히키의 《보이지 않는 용

(14) 움베르트 에코의 《미의 역사》, 《추의 역사

(15) 안톤 길의 《페기 구겐하임

(16) 도널드 톰슨의 《은밀한 갤러리

(17) 윤용이 교수의 《우리 옛 도자기의 아름다움》과 《아름다운 우리 찻그릇

(18) 이우환의 만남을 찾아서와 여백의 예술

(19) 진 로버트슨과 크레이그 맥다니엘의 테마 현대미술 노트

(20) 조너선 할의 로스트 페인팅

(21) 키치, 우리들의 행복한 세계키치, 어떻게 이해할까?키치로 현대미술론을 횡단하기

(22) 게릴라 걸스의 서양미술사여성, 미술, 사회 : 중세부터 현대까지 여성 미술의 역사

(23)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1,2,3

(24) 마이클 프레인의 곤두박질

(25) 존 버거의 본다는 것의 의미와 시간의 의미

(26) 뱅크시의 뱅크시, 월 앤 피스

(27) 윤난지의 추상미술과 유토피아

(28) 이보연의 이슈, 중국 현대미술, 우홍의 작품과 전시

(29) 강우방의 한국미술의 탄생

(30) 데이비드 호크니의 명화의 비밀

(31) 바우터르 반 데르 베인, 페터르 크나프의 반 고흐, 마지막 70일

(32) 에바헬러의 색의 유혹, 빅토리아 판레이의 컬러 여행, 이재만의 한국의 전통색

(33) 정명모의 무명화가들의 반란, 민화

(34) 박완서의 나목

(35) 리타 해튼, 존 A, 워커의 슈퍼 콜렉터 사치

(36) 전영백의 세잔의 사과 

(37) 츠베탕 토도로프의 일상예찬

(38) 리처드 세닛의 장인

(39) 레지스 드브레의 이미지의 삶과 죽음

(40) 마르셀 뒤샹

(41) 호크니, 다시 그림이다

(42) 서현의 배흘림기둥의 고백

(43) 수전 손택의 사진에 대하여타인의 고통

(44) 조선미의 한국의 초상화

(45) 그리젤다 폴록의 고객이 타히티로 간 숨은 이유

(46) 이은기의 르네상스 미술과 후원자

(47) 알랭드 보통의 영혼의 미술관


반응형

'■ 관심 사항 > □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홍도) 송하취생도  (0) 2015.04.12
(김창업) 송시열 초상  (0) 2015.04.10
(이명기) 체제공 초상  (0) 2015.04.08
조선시대와 현재의 관직 비교  (1) 2015.04.02
(윤제홍) 귀어도  (0) 2015.04.02



▲ <체제공 초상>, 이명기, 1792,  수원화성박물관,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반응형

'■ 관심 사항 > □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창업) 송시열 초상  (0) 2015.04.10
이진숙의 ART BOOK 깊이 읽기  (0) 2015.04.08
조선시대와 현재의 관직 비교  (1) 2015.04.02
(윤제홍) 귀어도  (0) 2015.04.02
우리 화인  (0) 2015.04.01

조선시대의 역사와 우리 미학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옛 선인들에 대해서도 관심이 가지 않을 수 없다. 

보통 역사에 등장하는 많은 인물들은 처음 소개글 중에 많은 부분이 언제 과거시험을 보고 언제 어떤 관직을 제수받았는지, 또 어떤 품계인지에 대해서 나온다. 그런데 삼정승에 대해서는 대충 알 거 같은데 나머지는 도무지 짐작이 가지 않는다. 지금의 관직과 비교하면 그래도 조금 낫지 않을까. 여기저기 돌아다니다 아래 표를 보게 되었는데 여기에 책을 읽어가면서 만나는 이들을 통해 조금씩 더 정리해보아야 겠다

  


     (출처) http://www.yeongyangkim.com/

   

역사 관련 책을 읽고 나오는 관직에 대해서 하나씩 정리해 나가도록 하자.      

반응형

'■ 관심 사항 > □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진숙의 ART BOOK 깊이 읽기  (0) 2015.04.08
(이명기) 체제공 초상  (0) 2015.04.08
(윤제홍) 귀어도  (0) 2015.04.02
우리 화인  (0) 2015.04.01
(최북) 풍설야귀인  (0) 2015.04.01

 

 

▲ <귀어도>, 윤제홍, 1833년, 종이에 수묵, 45.4 x 67.4cm, 삼성 리움미술관 소장

반응형

'■ 관심 사항 > □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명기) 체제공 초상  (0) 2015.04.08
조선시대와 현재의 관직 비교  (1) 2015.04.02
우리 화인  (0) 2015.04.01
(최북) 풍설야귀인  (0) 2015.04.01
(김홍도) 세마도  (0) 2015.04.01

우리 화인

 

■ 윤두서 (1668 ~ 1715)

- 윤두서 자화상

- 해남윤씨가전고화첩

 

■ 최북 (1720 ~ 미상)

- 표훈사도

- 한강조어도

- 추경산수도

- 조어도

- 풍설야귀도

- 공산무인도

- 누각산수도

 

■ 김홍도 (1745 ~ 1806 ? )

- 자화상 (18세기 중반)

- 군선도 (1776)

- 서원아집도 (1778)

- 행려풍속도 (1778)

- [단원풍속도첩] (18세기 후반)

- 송월도 (1779)

- 꽃과 나비 (1782)

- 단원도 (1784)

- 사녀도 (1784)

- 금강사군첩 (1788)

- 연꽃과 게 (1789)

- [을묘년화첩] (1795)

- [병진년화첩] (1796)

- 마상청앵도 (18세기 후반)

- 염불서승도 (1804)

- 추성부도 (1805)

 

■ 윤제홍 (1764 ~ 1840년 이후)

1792년(정조 16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794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관을 거쳐 1801년 정언이 되었다.

1806년 김구주의 관작이 추탈될 때 그 일파라 하여 창원에 유배되었다. 1830년 풍천 부사로 재임 중 암행어사 홍희석의 탄핵으로 삭직당하였으나, 1840년 다시 대사간에 이르렀다

 

- 고사도

- 옥순봉

- 모루관폭도

- 산수인물도

반응형

'■ 관심 사항 > □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와 현재의 관직 비교  (1) 2015.04.02
(윤제홍) 귀어도  (0) 2015.04.02
(최북) 풍설야귀인  (0) 2015.04.01
(김홍도) 세마도  (0) 2015.04.01
메타북 KEY-PAGE  (0) 2015.03.27

 

 

▲ <풍설야귀인 (風雪夜歸人) >, 최북, 종이에 엷은 색, 42.9 x 66.3cm

반응형

'■ 관심 사항 > □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제홍) 귀어도  (0) 2015.04.02
우리 화인  (0) 2015.04.01
(김홍도) 세마도  (0) 2015.04.01
메타북 KEY-PAGE  (0) 2015.03.27
(김명국) 수노인  (0) 2015.03.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