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9

[Book] 경영,경제,인생 강좌 45편 - 윤석철 한 5년 전까지 많은 책들을 사 모으고 읽어왔다. 그때는 일단 많이 읽으려고 했다. 매달 몇 권을 읽었고, 1년에는 몇 권을 읽었다가 중요했다. 100권을 넘겨야 한다는 나름의 강박도 있었다. 그러다 보니 곱씹을 여유가 없었고, 남는 것이 별로 없었다. 누군가는 원래 책은 읽고 나면 잊어버리는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나도 모르게 어딘가에 기억되어 있다고, 그래서 언젠가는 수많은 뉴런들의 시냅스가 연결될 때 그것이 쓰일지도 모른다고 한다. 그러나, 내가 원하는 것은 조금 다르다. 내 머릿 속에 통제가 가능한 아주 큰 격자틀이 있고, 수많은 경험과 정보들을 그 격자들에 차곡차곡 쌓아두고 내가 필요할 때 마치 맞춤형 서랍 속에서 정보를 찾아내듯이 활용하고 싶은 생각이 든다.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조금 더.. 2023. 9. 11.
1초만 결심하라. 그리고 연결하라 - <부의 확장>, 천영록,제갈현열 삼십대의 마지막에 생각한 것이 하나 있습니다. 앞으로의 경제적 독립을 위해서 '경제 공부를 제대로 한 번 해보자.' 라는 다짐이었죠. '어떻게 경제공부를 해야할까요?' 여기저기 질문들을 해왔습니다. 누군가는 팟캐스트를 추천해주고, 누군가는 유튜브 다큐멘터리를 알려주고, 금리에 대한 책을 알려주기도 했습니다. 그 중에서 라는 팟캐스트를 하루 하루 듣는게 어쩌면 제 경제공부의 시작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3개월 정도의 시간이 흘러갔습니다. 경제공부를 한다고 조금씩 투자를 했었던 것들은 비자발적 장기투자가 되기도 했고, 적은 금액이기는 하지만 '동학개미운동'의 일원으로 참여를 하기도 했지요. 하지만 처음 경제공부를 할 때 부터 생각은 있었습니다. 1년 정도는 무엇보다도 공부를 해보자. 전체적인 흐름.. 2020. 4. 17.
[Book] 현명한 투자자의 인문학 [Book] 현명한 투자자의 인문학 [출판] 부크온 / 2017.07.14 [저자] 로버트 해그스트롬 '2020~2021년' 2년이라는 기간 동안, 경제에 대한 전반적인 공부를 하려고 한다. 지금까지 경제에 대해서 너무 무지했으며, 이제는 경제에 대한 개념, 원리, 사상, 예측등을 기반으로 해서 조금 더 세상을 보는 눈을 넓혀가려고 한다. 지금은 그 시작점을 찾기 위해서 여기저기 문을 두드려 보는 중이다. 아직은 어떻게 접근을 해야 하는지, 어떤 것을 먼저 공부해야 하는지, 어떤 순서로 해야 하는지 아무것도 알지 못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경험으로는 이런 저런 시도를 해볼 수 밖에 없다. 어떻게 하면 그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지를 찾아내는 것이 우선이다. 그러다 보면 시작점을 찾고 나도 모르게 그 기반.. 2019. 11. 30.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CPI : Consumer Price Index) ]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체 도시소비자가 상품과 서비스품목을 구입할 때 지불하는 가격의 평균변동을 측정한 수치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2000년을 100으로 하고 (도시가계의 소비구조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매5년 주기로 지수를 개편), 조사대상 품목은 가계소비지출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10,000 이상인 516개 품목(상품357개, 서비스159개 품목)이며 조사대상 지역은 서울을 비롯한 36개 주요 도시이다. 특정의 집단이나 개개인에게 영향을 주는 가격변동을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가구의 평균적인 소비패턴을 반영하는 것이며 특정품목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구입하는 식료품, 의약품, 가전제품 등의 상품과 입시학원비, .. 2014. 1. 5.
2013-027. 최진기의 생존경제 2013. 4. 14.
돈 걱정 없는 노후 30년 - 독서로드맵(경제) 참여도서 - 지식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책읽기 예전에 읽었던 책이었는데, 책만 보고는 어떤 내용인지 짐작도 못할 정도로 잊어버리고 있었던 책이다. 이번에 경제공부를 시작하면서 선택한 책 중의 하나다. 집에 있는 경제관련 책 중 하나라고 하는게 더 맞는 것 같다. 우선 철저하게 책이 말하는 초점 위주로 발췌독을 하였으며, 다른 블로거나 신문기사의 내용들을 살펴보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점을 정리한다. 목적은 1년 후, 내 경제관념의 변화와 건강한 경제관념과 돈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이다. ◆ 우리의 미래를 책임질 3대 자산 1) 보장자산 - 보험 등의 자산 2) 은퇴자산 - 노후 대비를 위한 자산 3) 투자자산 - 빚이 없는 상태를 전제로 한 여유 자산 ◆ 훌륭한 재테크란, 돈을 많이 불리는 것이 아니라.. 2012.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