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관심 사항/□ 잡동사니171

경제금융용어 700선 한국은행이 발행한 책자로, 국민에게 올바른 경제 개념을 알리고 금융 이해도를 높이려는 의도였다.결과적으로 경제에 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도우려는 것이다.해당 파일은 한국은행 사이트게 가면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 최승호 p76 - 2020. 12. 6.
인내심있는 투자 우리가 거래 활동에 거리를 두는 것은 주식시장에서는 활발하게 거래하는 사람으로부터 인내심 있는 사람에게로 돈이 흘러간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주주를 생각하는 유능한 경영진이 운영하는 기업으로서 이해할 수 있고, 영속적이며, 군침 돌 정도로 경제성이 좋은 대기업을 끊임없이 찾고 있습니다. 물론 이런 기업을 산다고 좋은 실적이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합리적인 가격에 사야 하고, 실제로 그 기업이 좋은 실적을 내야 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슈퍼스타를 찾는 투자방법이 우리가 진정한 성공을 거두는 유일한 기회입니다. 우리가 보유한 막대한 자금을 고려하면 찰리와 나는 그다지 기민하지 못해서 부실기업까지 능숙하게 사고팔면서 탁월한 실적을 올릴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이곳 저곳을 옮겨 다니듯 투자하면서 장.. 2020. 11. 26.
Oracle WITH 구문 ■ WITH 구문 - WITH 구문 내의 쿼리의 결과(SUB쿼리)가 여러번 사용될때 유용하다.- 서브쿼리 블록에 이름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해줌- 오라클 옵티마이저는 쿼리를 인라인뷰나 임시테이블로 여긴다.- Oracle 9이상 지원 ■ WITH 구문 사용방법 WITH ALIAS명 AS (SUB쿼리)SELECT 컬럼명 FROM ALIAS명 예제)WITH AA AS (select ROWNUM, 'TEST1', SYSDATE from dual Union All select ROWNUM, 'TEST2', SYSDATE from dual Union All select ROWNUM, 'TEST3', SYSDATE from dual)select * from AA; ■ WITH 구문 사용방법 WITH ALIAS명_1 A.. 2020. 11. 8.
[명리] 오행 사계절을 음양으로 구분하면, 봄과 여름은 성장하고 발산하는 기운이 강하기에 양이고, 가을과 겨울은 수렴하고 응축하는 기운이 강하기에 음이다. 음양이 나오면 그 다음에 나오는 것은 오행(五行)이다. 우주의 질료인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로 이루어진 오행은 2,000년 역사의 동양 문화에서 이어내려온 핵심 개념으로 삶의 다양한 분야와 연계되어 왔다. 사계절과 환절기를 오행과 결부시키면 어떻게 될까? 봄은 목, 여름은 화에 배속되고, 가을은 금, 겨울은 수에 배속된다. 그리고 토는 계절을 매개하는 환절기에 속한다. 고정되지 않고, 순환한다는 관점에서 음양과 오행은 크게 다르지 않다. 1. 목(木) 오행의 첫 번째 기운은 '목'(木)이다. 목은 사계절 중 '봄'에 해당한다. 인간의 .. 2020. 9. 13.
[명리] 음양 "옛날 고사에 남해왕과 북해왕 사이에 '혼돈' 이라는 이름의 혼돈왕이 있었다. 어느 날 혼돈왕은 남해왕과 북해왕을 초청해서 잔치를 거하게 열었다. 그때 인간에게는 일곱 개의 구멍이 있었는데, 혼돈왕에게는 몸에 구멍이 하나도 없었다. 잔치로 기분이 좋았던 남해왕과 북해왕은 잔치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혼돈왕에게 하루에 한 개씩 구멍을 뚫어주었다. 그런데 혼돈왕에 일곱 개째의 구멍을 뚫는 순간, 그만 혼돈왕이 죽어버렸고, 혼돈이 사라져버렸다." 우주 근원의 시점에서 볼 때 음과 양으로 규정되기 이전의 혼돈의 상태, 즉 그 자체로 조화로운 상태인 혼돈의 상태야말로 우주의 가장 완벽한 상태였을 수도 있는 것이다. 혼돈왕의 시대가 사라지면서, 남해왕과 북해왕만 남게 되면서 중간이 사라진 음과 양의 개념이 시작되었다.. 2020. 9. 12.
주식용어정리 - PER, PBR, BPS, EPS, ROE "주식용어정리 - PER, PBR, BPS, EPS, ROE" ■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 수익 비율 - PER = 시가총액 / 순이익 - 한 회사에서 1년에 5백만원의 순이익이 생기는데, 시가총액이 5천만원일 경우 = 5천만원/5백만원 = 10 - 버는 돈에 비해서 얼마로 평가 받고 있는지 확인 = PER가 낮을수록 저평가, 높을 수록 고평가 - ex) 코스피 평균PER 대비 낮으면 코스피 대비 저평가되어있다고 확인 가능 - ex) 동종업계간의 PER를 비교해서 저평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 ■ PBR(Price Book value Ratio): 주가의 순자산가치 비율 - PBR = 시가총액 / 자기자본 - 청산가치와 현재가치간의 비율 - PBR < 1이라면 회사의 주가가 장부상.. 2020. 8.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