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Consulting/□ 방법론, 템플릿7

가설적 문제 해결 출처: 『문제해결사』, 유정식 2022. 6. 27.
가설 설정 방법 - ③ TIC 분석법 ■ TIC이란? - 과정(Throughput), 인풋(Input), 제약조건(Constraint)의 약자로 만든 단어 - 원인의 세가지 범주 : 과정의 결함, 인풋의 결함, 제약조건의 결함 ■ 과정의 결함 1) 행동의 결함 : 잘하지 못하거나 소홀히 함 - 행동의 결함을 찾기 위한 방법 (1)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것은 없는가? (2) 잘하지 못하도록 만든 요소는 없는가? (3) '잘하다가 못하다가'를 반복하는 것은 없는가? 2) 충족의 결함 : 무엇인가가 없거나 부족해서 생기는 결함 - 충족의 결함을 찾기 위한 방법 (1) 작동하지 않는 것은 없는가? (2) 뭔가 부족한 것은 없는가? (3) 모르고 넘어간(누락한) 것은 없는가? 과정의 결함 행동의 결함 충족의 결함 눈에 보이는 결함 눈에 보이지 않는 .. 2022. 1. 8.
가설 설정 방법 - ② KT 분석법 ■ KT 분석법 - 미국의 정치, 외교, 군사 정책 전문 연구소인 랜드 코퍼레이션에서 근무하던 케프너와 트리고가 고안한 도구로서, KT는 그들의 성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 KT 분석법 구성 - 문제가 '벌어진 상황'과 '벌어지지 않은 상황'을 다음과 같은 4가지 차원의 질문으로 구별 1) What - 무엇이 발생했는가? / 무엇이 발생하지 않았는가? 2) Where - 어디서 문제가 발생했는가? / 어디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는가? 3) When - 언제 문제가 발생했는가? / 언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는가? or 언제 문제가 처음 발견됐는가? / 언제 문제가 마지막으로 발견됐는가? 4) How much - 얼마나 영향을 받았는가? / 얼마나 영향을 받지 않았는가? ■ KT 분석표 작성 순서 1) 문.. 2022. 1. 8.
가설 설정 방법 - ① 원인 발견법 ■ 원인 발견법의 3가지 가정 1) 동일한 결과가 나타난다면 동일한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2) 결과가 발생했다면 원인이 앞서서 발생했다는 뜻이고, 원인이 발생하고 나면 이어서 결과가 발생한다. 3) 두 개 이상의 상황을 서로 비교하여 원인을 발견한다. ■ 원인 발견법의 4가지 세부 방법 - 일치 판단법 - 차이 판단법 - 일치차이 판단법 - 상관 판단법 □ 일치 판단법 - ㄱ사업부 : 잠정적인 원인 A, C, D, E 존재 → 문제 발생 - ㄴ사업부 : 잠정적인 원인 C, B, F, G 존재 → 문제 발생 ▷ C가 공통으로 존재 : C가 문제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추정 □ 차이 판단법 - ㄱ사업부 : 잠정적인 원인 A, C, D, E 존재 → 문제 발생 - ㄴ사업부 : 잠정적인 원인 A, D, E, F.. 2022. 1. 8.
전략방향 도출 1. 전략적위치/핵심이슈 분석 - 자사의 산업 내 경쟁을 고려한 현 위치를 객관적으로 평가 * Strategic Position Analysis * Strategic Position Matrix * 핵심 이슈 도출 * 이슈 중요도/연관도 분석 * Issue Diagram 2. 전사전략방향 대안 도출 - 거시적 전사 전략방향의 대안 설정 * Option Generation Approach * Option Categories * Framworks for Option Generation 3. 전사전략방향 대안평가/선정 - 전략방향 대안 평가를 통한 최종 전략방향의 확정 * Life Cycle/Strategic Fit Analysis * Core Competency Fit Analysis * Reward Ana.. 2022. 1. 1.
내부환경 분석 1. 사업/재무성과 분석 -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수익성을 파악함 * Accounting Based Measures * EVA (Economic Value Added) * ROIC/EVA Chart * CVA(Cash Value Added) Analysis * CFROI Tree * Extra Profitability Measures 2. 제품/고객 분석 - 제품/서비스의 적정성 및 고객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고객) 시장을 이해함 * Product/Service Evaluation * Finanacial Contribution Analysis * Market Maps * Brand Recognition Evaluation * Product Quality Evaluation .. 2022. 1.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