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 4.0의 개념과 핵심 요소
1. 품질 4.0의 개념 1) 기업 활동의 효율성과 성과를 높이고,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하기 위해 품질경영에 4차산업혁명 기술을 맞추어 적용하는 것 (Jacob, 2017) 2) 4차 산업혁명의 결과로서 기존의 품질특성이나 공정변수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도가 실시간 품질 모니터링으로 변화한 것으로서, 생산 오류를 방지하고 제품,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하여 품질 규격과 품질과 관련된 데이터를 정의, 수집, 분석 및 활용하는 것 (Ngo and Schmitt, 2016) 3) 디지털화, 인공지능 등 4차산업혁명 기술을 품질에 적용하는 것 (Bowers and Pickerel, 2019) 4) 4차 산업혁명에 나타난 디지털 기술을 품질경영에 적용한 것 (Kupper, 2019) 5) 4차 산업..
2023. 8. 26.
Operation Technology 참고
Operation Technology 논문 발췌 - 김인아,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Digital Transformation 시스템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전기공학, 2021 2.2. IoT 및 산업용 IIoT 2.2.2. 기능 및 구현 사물인터넷은 세 가지의 주요 기술로 구현된다. 첫 번째로 센싱 기술이다. 센싱 기술은 사물과 주위 환경에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이다. 예를 들자면, 온도 및 습도, 열, 진동, 가스, 초음파, 위치, 영상, 레이더 등 사물과 주변 환경에서 반응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것들이 센싱 기술이 접목될 수 있는 분야이다. 두 번째로 유무선 통신과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이다. 이는 인간과 사물 및 서비스를 연결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이다. 사물 간 정보를 ..
2021. 12. 18.
ERP와 MES의 생산공정 관계성
MES는 제조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하여 관련자 또는 관련 시스템에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MES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 결정하여 최적화된 생산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품질 관리, 인적 생산성 관리, 설비 가동률관리, 설비보전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생산의 효율화를 기할 뿐만 아니라 각종 개선과제를 도출하여 품질, 비용, 인도 기간 등을 향상하고 현금흐름을 개선한다. ERP 생산실행 프로세스의 경우, 제조산업의 다양성, 공정관리의 특수성과 복잡성 때문에 ERP에서 제공되는 생산관리 기능으로 관리하고 통제하는데 기능상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ERP 시스템을 구축한 다수의 제조업의 경우, 마치 바늘과 실처럼, ERP를 Main..
2021. 1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