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mart Factory/□ 공장관리기술사

표준 시간 - 여유 시간

by Broaden 2025. 4. 19.

공장관리기술사 - 토픽 모음

더보기

(116회-2교시-4번, 130회-2교시-5번)

 

표준시간 설정 시 고려되는 다음 여유시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일반여유
2) 특수여유

 

표준시간 계산 시에 사용되는 여유율을 설명하고, 여유시간을 일반여유와 특수여유로구분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1. 표준시간의 개념

- 작업자가 정상적인 속도로 작업을 수행했을 때 걸리는 시간을 의미함. 이는 작업 생산성 향상 및 효율적인 작업 관리를 위해 사용됨. 표준시간 계산 시에는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 외에도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유시간을 고려해야 함

 

2. 여유율의 개념

- 표준시간 계산 시 여유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함. 이는 작업의 특성, 작업 환경, 작업자의 숙련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짐. 여유율은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표시하며, 표준시간 계산 시 정미시간에 여유율을 곱하여 여유시간을 산출함

 

3. 여유시간의 구분

1) 일반 여유

- 일반 여유는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생리적, 정신적 피로, 작업 준비, 작업 지연 등을 고려하여 부여하는 시간임

- 일반 여유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 가능함

 ① 개인적 여유: 화장실 이용, 물 마시기 등 개인적인 용무로 인해 발생하는 지연 시간 (약 5%)

 ② 피로 여유: 작업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피로 회복을 위한 휴식 시간 (작업강도에 따라 4~15%)

 ③ 작업 여유: 작업 준비, 공구 교체, 기계 조정 등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지연 시간(약 5%)

 

2) 특수 여유

- 특수 여유는 특정 작업이나 작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부여하는 시간임

① 작업 관련 특수 여유

  . 기계적 특수 여유: 기계의 특성상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대기 시간(예: 금형 교체 시간, 기계 예열 시간)

  . 작업적 특수 여유: 작업의 특성상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지연 시간(예: 불량품 검사, 재작업)

② 환경 관련 특수 여유

  . 환경적 특수 여유: 고온, 저온, 소음, 진동, 분진 등 열악한 작업 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연 시간

  . 관리적 특수 여유: 작업 배정, 작업 지시, 작업 감독 등 관리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연 시간

 

4. 여유 시간 설정 방법

- 경험적 방법: 과거 경험이나 유사 작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여유 시간을 설정함

- 통계적 방법: 작업 시간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여유 시간을 산출함

- PTS(Predetermined Time Standard)법: MTM, WF와 같은 기장 시간 표준 자료를 활용하여 여유 시간을 설정함

- 워크샘플링(Work Sampling): 무작위 관찰을 통해 여유 시간 발생 비율을 추정함

 

5. 여유 시간 설정 시 고려사항

- 작업의 종류: 작업의 난이도, 복잡성, 강도, 정밀도 등을 고려함

- 작업 환경: 온도, 습도, 소음, 조명 등 작업 환경 조건을 고려함

- 작업자: 작업자의 숙련도, 경험, 피로도 등을 고려함

- 기계 및 설비: 기계 및 설비의 종류, 성능, 자동화 수준 등을 고려함

반응형

'■ Smart Factory > □ 공장관리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F(Critical Success Factor)  (0) 2025.04.19
강건설계  (0) 2025.04.19
수요 불확실성 개선  (0) 2025.04.19
외주 아웃소싱  (0) 2025.04.19
총괄생산계획  (0)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