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mart Factory/□ 공장관리기술사

총괄생산계획

by Broaden 2025. 4. 19.

공장관리기술사 - 토픽 모음

더보기

(121회-2교시-3번, 112회-2교시-3번, 112회-1교시-11번, 133회-1교시-5번, 133회-2교시-3번)

 

생산계획과 관련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총괄생산계획과 기준생산계획(Master Production Schedul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총괄생산계획의 평준화, 수요대응 및 혼합생산전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총괄생산계획의 3가지 수립전략에 대하여, 관련 비용과 고려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하시오.

 

총괄생산계획(Aggregate Operation Plan)

 

총괄생산계획 수립 시 고려하는 비용

 

총괄생산계획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생산계획의 목표 
2) 총괄생산계획의 수요추구 전략과 생산평준화 전략 
3) 총괄생산계획의 수립과정 4단계

1. 총괄생산계획과 기준생산계획

 

1) 총괄 생산 계획 (Aggregate Production Plan, APP)

- 정의: 중장기 생산 계획으로, 향후 6개월에서 18개월 동안 제품군별 생산량, 고용 수준, 재고 수준 등을 결정하는 계획임

- (목표)

 . 수요 변화에 대응하여 생산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함

 . 생산 비용을 최소화하고, 이익을 극대화함

 . 고객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고, 납기를 준수함

- (특징)

 . 제품군 단위로 계획을 수립함(개별 제품별 상세 계획은 아님)

 . 생산 능력, 재고 수준, 고용 수준 등을 조정하여 수립함

 . 기준 생산 계획 및 자재 소요 계획의 기초 자료가 됨

 

2) 기준 생산 계획 (Master Production Scheduler, MPS)

- 정의: 총괄 생산 계획을 바탕으로 개별 최종 제품의 생산량과 생산 시기를 결정하는 단기 생산 계획임

- (목표)

 . 고객 주문과 생산 계획을 연계함

 . 생산 능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함

 . 자재 소요 계획 및 생산 일정 계획의 기준을 제공함

- (특징)

 . 개별 최종 제품 단위로 계획을 수립함

 . 고객 주문, 예상 수요, 재고 수준 등을 고려하여 수립함

 . 자재 소요 계획(MRP)의 입력 자료가 됨

 

2. 총괄 생산 계획의 전략

 

1) 평준화 전략 (Level Strategy)

- 정의: 계획 기간 동안 생산량과 고용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략

- 장점: 안정적인 생산 시스템 운영 가능, 고용 안정성 확보, 재고 관리 비용 절감

- 단점: 수요 변동에 대한 대응력 낮음, 재고 부족 또는 과잉 재고 발생 가능성

- 관련 비용

  . 재고 유지 비용: 평균 재고 수준이 높아 재고 유지비용(보관/관리 비용, 감가상각비 등)이 높아질 수 있음

  . 재고 부족 비용: 수요가 급증할 경우 재고 부족으로 인한 판매 기회 손실, 고객 불만족 등이 발생할 수 있음

- 고려 사항

  . 수요 변동이 크지 않고 에측 가능한 경우 적합함

  . 고용 안정성을 중시하는 경우 적합함

  . 재고 유지 비용이 낮고, 재고 부족으로 인한 손실이 크지 않은 제품에 적함함

 

2) 수요 대응 전략 (Chase Strategy)

- 정의: 수요 변동에 따라 생산량과 고용 수준을 조정하는 전략

- 장점: 수요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 재고 수준 최소화

- 단점: 고용 불안정 초래. 생산 비용 증가 가능성

- 관련 비용

  . 고용 조정 비용: 채용, 교육, 해고 등 고용 조정에 따른 비용이 발생함

  . 잔업 비용: 수요 증가 시 잔업 또는 임시직 고용으로 인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

- 고려 사항

  . 수요 변동이 크고 예측이 어려운 경우 적합함

  . 재고 유비 비용이 높고, 재고 부족으로 인한 손실이 큰 제품에 적합함

  . 고용 유연성이 높은 경우 적합함

 

3) 혼합 생산 전략 (Hybrid Strategy)

- 정의: 평준화 전략과 수요 대응 전략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전략

- 장점: 평준화 전략과 수요 대응 전략의 장점을 결합, 상황에 따라 유연 대응 가능

- 단점: 복잡한 계획 및 관리 필요

- 관련 비용

  . 평준화 전략과 수요추종 전략의 비용 요소를 모두 고려해야함

  . 잔업 비용, 하청 비용, 재고 유지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혼합 전략을 찾아야 함

- 고려 사항

  . 수요 변동이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지만, 변동성이 큰 경우 적합함

  . 고용 안정성과 수요 대응력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경우 적합함

 

3. 총괄생산계획의 수립 과정 4단계

 

① 1단계: 수요 예측 (Demand Forecasting)

 - 목표: 계획 기간 동안의 제품군별(또는 총) 수요를 예측함

 - 방법: 과거 판매 데이터 분석, 시장 조사, 전문가 의견 수렴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함

 - 고려 사항: 수요 패턴(계절성, 추세 등), 경제 상황, 경쟁사 동향, 프로모션 계획 등을 고려하여 수요 예측

 

② 2단계: 생산 능력 파악 (Capacity Planning)

 - 목표: 현재의 생산 능력을 파악하고,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생산 능력을 산정함

 - 고려 사항: 설비 능력, 가용 인력, 작업 시간, 자재 조달 능력 등을 고려하여 생산 능력을 파악함

 - 생산 능력 조정 옵션: 초과 근무, 하청, 설비 투자, 인력 채용 등을 통해 생산 능력을 조정할 수 있음

 

③ 3단계: 총괄생산계획 대안 개발 및 평가

 - 목표: 수요 예측과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총괄생산계획 대안을 개발하고 평가함

 - 방법

  . 수요추구, 생산평준화, 혼합전략 등 다양한 전략을 고려하여 대안을 개발함

  . 각 대안별로 생산량, 재고 수준, 인력 수준, 관련 비용 등을 추정함

  . 시뮬레이션, 선형 계획법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대안을 평가하고 최적 대안을 선택함

- 고려 사항: 비용, 고객 서비스 수준, 생산 안정성, 유연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대안을 평가함

 

④ 4단계: 총괄생산계획 확정 및 실행

 - 목표: 최종적으로 선택된 총괄생산계획을 확정하고 실행하며 성과를 모니터링함

 - 실행: 확정된 계획에 따라 생산, 인력, 재고 등을 관리함

 - 모니터링: 실제 수요, 생산량, 재고 수준, 비용 등을 계획과 비교 분석하고, 필요 시 계획을 수정함

 - 피드백: 실행 결과를 바탕으로 수요 예측, 생산 능력 계획, 총괄생산계획 수립 과정 등을 개선함

 

4. 총괄생산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하는 비용

 

- 총괄생산계획(Aggregate Production Planning, APP)은 중기(보통 3~18개월)에 걸쳐 수요를 충족시키면서 관련 비용을 최소화하는 생산, 인력, 재고 수준을 결정하는 계획임. 따라서 총괄생산계획 수립 시 다양한 비용 비용 요소를 고려해야 함

 

① 생산 비용 (Production Costs)

- 정규 시간 생산 비용: 정규 근무 시간에 제품을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으로, 직접 재료비, 직접 노무비, 제조 간접비 등이 포함됨

- 초과 근무 비용: 정규 근무 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할 때 발생하는 추가 비용으로, 일반적으로 정규 시간 임금보다 높음

- 하청(외주) 비용: 외부 업체에 생산을 위착할 때 발생하는 비용으로, 자체 생산 비용보다 높을 수 있지만, 생산 능력 부족을 해결하거나 수요 변동에 대응하는 데 유용함

 

② 재고 관련 비용 (Inventory Related Costs)

- 재고 유지 비용: 재고를 보관하고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으고, 창고 임대료, 보험료, 자본 비용, 감가상각비, 재고 손실 비용 등이 포함됨

- 재고 부족 비용: 재고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으로, 판매 기회 손실, 고객 신뢰도 하락, 긴급 주문 비용, 생산 지연 등이 포함됨

- 재고 주문 비용: 주문을 발주하고 처리하는 데 드는 비용 (크게는 재고유지비용에 포함되나, 세부적으로 고려해야 함)

 

③ 인력 관련 비용 (Workforce Related Costs)

- 고용 및 해고 비용: 인력을 고용하거나 해고할 때 발생하는 비용으로 채용 공고, 면접, 교육 훈련, 퇴직금, 실업 급여 등이 포함됨

- 교육 훈련 비용: 작업자의 숙련도를 높이기 위해 실시하는 교육 훈련에 드는 비용임

 

④ 설비 관련 비용 (Capacity Related Costs)

- 설비 증설/축소 비용: 생산능력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데 드는 비용

- 유휴 설비 비용: 생산설비의 유휴 상태에서 발생하는 고정비, 감가상각비, 유지보수비 등의 비용

반응형

'■ Smart Factory > □ 공장관리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요 불확실성 개선  (0) 2025.04.19
외주 아웃소싱  (0) 2025.04.19
조립라인 셀 생산방식 개선  (0) 2025.04.19
MPS(Master Production Schedule)  (0) 2025.04.19
신규 사업 타당성 분석  (0)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