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mart Factory/□ 공장관리기술사

MPS(Master Production Schedule)

by Broaden 2025. 4. 19.

공장관리기술사 - 토픽 모음

더보기

(112회-3교시-1번)

대일정계획(MPS:Master Production Schedule)과 관련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총괄생산계획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MPS 수립 시 반영 항목 및 결과, 공정 특성에 따른 MPS 대상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1. 총괄생산계획과의 관계

- 대일정계획(MPS)은 총괄생산계획(APP)의 하위 단계 계획으로, 총괄생산계획에서 수립된 제품군별 생산 계획을 바탕으로 개별 최종 제품의 생산량과 생산 시기를 구체적으로 결정하는 단기 생산 계획임

- 총괄생산계획과 대일정계획과의 관계

 ① 계층적 관계: 총괄 생산 계획은 상위 수준의 계획이고, 대일정계획은 하위 수준의 계획임

 ② 연동: 대일정계획은 총괄 생산 계획의 틀 안에서 수립되어야 하며, 총괄 생산 계획의 목표와 일관성을 유지해야 함

 ③ 구체화: 총괄 생산 계획에서 제시된 생산량 목표를 개별 제품별 생산 계획으로 구체화함

 ④ 세분화: 총괄 생산 계획은 제품군 단위로 계획을 수립하지만, 대일정계획은 개별 제품 단위로 계획을 수립

 ⑤ 기간: 총괄 생산 계획은 중장기 계획(6~18개월)인 반면, 대일정계획은 단기 계획(주 단위 또는 일 단위)

 

2. MPS 수립 시 반영 항목 및 결과, 공정 특성에 따른 MPS 대상

1) MPS 수립 시 반영 항목

- 수요 예측: 미래 수요 예측 정보 (예상 주문량, 시장 상황)

- 고객 주문: 확정된 고객 주문 정보

- 재고 현황: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재고량

- 생산 능력: 생산 설비 용량, 가용 인력, 자재 수급 상황

- 생산 리드 타임: 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

- 자재 소요 계획: 제품 생산에 필요한 자재 확보 계획

 

2) MPS 수립 결과

- 생산 일정: 개별 제품별 생산 시작일, 생산 완료일

- 생산량: 개별 제품별 생산 수량

- 작업 지시: 작업 현장에 전달되는 작업 지시 정보

 

3) 공정 특성에 따른 MPS 대상

- MTS(Make-to-Stock): 표준화된 제품을 예상 수요에 맞춰 미리 생산하여 재고로 보유하는 방식. MPS 대상은 완제품임

- ATO(Assemble-to-Order): 고객 주문에 따라 모듈 또는 부품을 조립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 MPS 대상은 모듈 또는 주요 부품임

- MTO(Make-to-Order): 고객 주문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 MPS 대상은 주요 부품 또는 원자재임

- ETO(Engineer-to-Order): 고객의 요구에 따라 제품을 설계하고 생산하는 방식임. MPS 대상은 핵심 부품 또는 원자재임

반응형

'■ Smart Factory > □ 공장관리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괄생산계획  (0) 2025.04.19
조립라인 셀 생산방식 개선  (0) 2025.04.19
신규 사업 타당성 분석  (0) 2025.04.19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0) 2025.04.19
CPS(Cyber Physical System)  (0)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