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회-2교시-5번)
간접비의 배부원칙과 제조간접비 배부 기준을 설명하시오.
1. 간접비와 제조간접비의 개념
- 간접비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직접 추적할 수 없는 비용을 말함
- 제조간접비는 제품 생산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간접비로 공장 임차료, 감가상각비, 간접 재료비, 간접 노무비 등이 포함됨
- 이러한 간접비를 제품별로 정확하게 배부하는 것은 원가 계산의 정확성을 높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매우 중요함
2. 간접비 배부 원칙
① 인과관계 기준: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간접비 발생의 원인과 결과에 따라 배부해야 함. 즉, 특정 제품이나 부서가 간접비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면, 그에 상응하는 비용을 부담해야 함
② 수혜 기준: 간접비로부터 혜택을 받는 정도에 따라 배부함. 예를 들어, 특정 부서가 더 많은 전력을 사용했다면, 그만큼 더 많은 전력비를 부담해야 함
③ 부담 능력 기준: 수익 창출 능력이나 이익 기여도에 따라 배부하는 방식임. 수익성이 높은 제품에 더 많은 간접비를 배부할 수 있음
④ 공정성과 공평성 기준: 배부 기준은 객관적이고 공정해야 하며, 관련부서나 제품에 공평하게 적용되어야 함
3. 제조간접비 배부 기준
1) 전통적인 배부 기준 (Traditional Allocation Bases)
① 직접 재료비 기준: 제품 생산에 투입된 직접 재료비의 비율에 따라 제조간접비를 배부함
- 장점: 계산이 간단하고 적용하기 쉬움
- 단점: 직접 재료비와 제조간접비 간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없는 경우가 많아,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음
- 적합한 경우: 직접 재료비가 제조 원가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제조간접비와 연관성이 비교적 높은 경우
② 직접 노무비 기준: 제품 생산에 투입된 직접 노무비의 비율에 따라 제조간접비를 배부함
- 장점: 계산이 비교적 간단하고, 노동 집약적인 산업에 적합함
- 단점: 자동화가 진행되면서 직접 노무비의 비중이 낮아지고 있어, 배부기준 적합성이 떨어지고 있음
- 적합한 경우: 직접 노무비가 제조 원가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제조간접비와의 연관성이 높은 경우
③ 기계시간 기준: 제품 생산에 사용된 기계 가동 시간의 비율에 따라 제조 간접비를 배부함
- 장점: 자본 집약적인 산업에서 인과관계를 잘 반영할 수 있음
- 단점: 기계 가동 시간과 관련 없는 제조 간접비(예: 공장 임차료)는 배부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음
- 적합한 경우: 자동화된 생산 설비가 많고, 기계 가동 시간과 제조간접비 발생 간에 연관성이 높은 경우
2) 활동기준 원가계산 (Activity-Based Costing, ABC) 기반한 배부 기준
- 활동 기준 (Activity-Based): 제조간접비를 활동(Activity)별로 집계하고, 각 활동의 원가 동인(Cost Driver)을 기준으로 제품에 배부함
- 장점: 전통적인 배부 기준보다 인과관계를 더 정확하게 반영하여, 원가 계산의 정확성을 높이고, 제품별 수익성 분석 및 전략적 의사결정에 유요한 정보를 제공함
- 단점: 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함
- 적합한 경우: 제조간접비의 비중이 크고, 제품의 다양성이 높으며, 전통적인 배부 기준으로 원가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어려운 경우
- (예시)
. 구매 활동: 구매 주문 건수, 부품 수
. 자재 취급 활동: 자재 이동 횟수, 자재 무게
. 검사 활동: 검사 횟수, 검사 시간
. 기계 가동 활동: 기계 가동 시간
. 설비 셋업 활동: 셋업 횟수, 셋업 시간
'■ Smart Factory > □ 공장관리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isk Management (0) | 2025.04.18 |
---|---|
창고관리 운영업무 (0) | 2025.04.18 |
Process FMEA (0) | 2025.04.18 |
Group Technology (0) | 2025.04.18 |
E-BOM, M-BOM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