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번-2교시-6번)
TPM(Total Preventive Maintenance)전략에서 TBM(Time-Based Maintenance)과CBM(Condition-Based Maintenance)의 적용 효율을 높이는 순서상의 방법을설명하시오.
TPM 전략에서 TBM과 CBM은 설비의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예방 보전 활동임. 하지만 각각의 방식에는 장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두 가지를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적용해야 최적의 효율을 얻을 수 있음
1. TBM(Time-Based Maintenance, 시간 기반 보전)
- 개념: 일정한 시간 간격을 기준으로 예방 보전을 수행하는 방식(예: 3개월마다 정기 점검)
- 장점: 계획 수립 및 관리가 용이하고, 예측 가능한 고장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임
- 단점: 설비의 실제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보전을 수행하기 때문에 과잉 보전 또는 보전 시기 불일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2. CBM(Condition-Based Maintenance, 상태 기반 보전)
- 개념: 설비의 실제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진단하여 필요에 따라 보전을 수행하는 방식
(예: 진동 분석, 오일 분석, 열화상 분석)
- 장점: 설비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필요한 시점에 보전을 수행하기 때문에 과잉 보전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음
- 단점: 상태 점검 및 진단에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예측 불가능한 고장에 대비하기 어려울 수 있음
3. TBM과 CBM의 효율적인 적용 순서
① TBM 기반으로 예방 보전 체계 구축
- 먼저 TBM 기반으로 정기적인 점검 및 보전 계획을 수립함. 이는 기본적인 설비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예측 가능한 고장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임
② CBM 도입 및 점진적 확대
- TBM을 기반으로 설비 관리 체계가 구축된 후, CBM 기법을 점진적으로 도입함. 중요 설비 또는 고장 발생 시 피해가 큰 설비부터 CBM을 적용하고, 점차 적용 범위를 확대함
③ 데이터 분석 및 보전 계획 최적화
- CBM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설비의 열화 및 고장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TBM 계획을 최적화함 (예: 점검 주기 조정, 부품 교체 시기 조정)
④ 예측 보전 시스템 구축
- CBM 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 등을 활용하여 설비 고장을 예측하고 사전에 보전 활동을 수행하는 예측 보전 시스템을 구축함
4. TBM과 CBM의 효과적인 결합을 위한 추가적인 고려사항
- 적절한 CBM 기법 선정: 설비의 특성과 운영 환경에 맞는 CBM 기법(진동 분석, 오일 분석, 열화상 분석 등)을 선정함
-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CBM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분석,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
- 전문 인력 양성: CBM 기법 적용 및 데이터 분석을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함
- 지속적인 개선: TBM 및 CBM 활동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하여 설비 관리 효율성을 향상 시킴
'■ Smart Factory > □ 공장관리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Z이론 (0) | 2025.04.19 |
---|---|
TPS 간판(Kanban) (0) | 2025.04.19 |
재고 분류 (0) | 2025.04.19 |
CRP(Capacity Requirement Planning) (0) | 2025.04.19 |
Reliability와 Maintainability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