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mart Factory/□ 공장관리기술사

설비 감가상각 방법

by Broaden 2025. 4. 19.

공장관리기술사 - 토픽 모음

더보기

109회-2교시-6번

원가계산의 설비 감가상각 방법 중 정액법과 정율법의 의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감가상각이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물, 기계, 장비와 같은 유형 자산의 가치가 감소하는 것을 회계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임. 원가 계산에서는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설비의 감가상각비를 제품 원가에 포함시켜 정확한 제품 원가를 산출함. 감가상각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액법과 정률법이 있음

 

1. 정액법

- 의미: 자신의 내용연수 동안 매년 동일한 금액을 감가상각비로 계상하는 방법임. 즉, 자산의 가치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한다고 가정함

- (계산법)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잔존가치) / 내용연수

  . 취득원가: 자산을 취득하는 데 지출된 모든 비용

  . 잔존가치: 내용연수가 끝난 후 자산의 예상 처분 가치

  . 내용연수: 자산을 사용할 수 있는 예상 기간

- (장점)

  . 계산이 간편하고 이해하기 쉬움

  . 매년 일정한 감가상각비를 계상하여 비용 배분이 균등함

- (단점)

  . 자산의 경제적 효익이 시간 경과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한다는 가정이 현실적이지 않을 수 있음

  . 자산의 수리비, 유지보수비 등은 내용 연수 후반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정액법은 이를 반영하지 못함

 

2. 정률법

- 의미: 자산의 미상각 잔액에 대해 매년 일정한 비율을 곱하여 감가상각비를 계상하는 방법임. 즉, 자산의 가치가 내용연수 초기에 더 많이 감소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폭이 줄어든다고 가정함

- (계산법) 감가상각비 = 미상각 잔액 x 정률

  . 미상각 잔액 = 취득 원가 - 감가상각누계액

- (장점)

  . 자산의 효익이 내용연수 초기에 집중되는 경우에 적합함. 

  . 내용연수 초기에 감가상각비를 많이 계상하여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음

- (단점)

  . 계산이 복잡함

  . 내용연수 후반에는 감가상각비가 적어져 수익과 비용의 대응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반응형

'■ Smart Factory > □ 공장관리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조공장 입지요인  (1) 2025.04.19
워크샘플링  (0) 2025.04.19
CSF(Critical Success Factor)  (0) 2025.04.19
강건설계  (0) 2025.04.19
표준 시간 - 여유 시간  (0)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