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들러심리학2

[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 아들러 심리학과 나, 스스로 용기얻는 법 아들러 심리학 그리고 나, 스스로 용기를 얻는 법 아들러 심리학이 서점가에서 열풍을 불고 있다. 한 마디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원래 베스트셀러라고 하면 일단 그 뒤에 어떤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하지 않을까 하는 의심이 들고, 왠지 쉽게 다가가지 않는 게 내 성향인데, 아들러 심리학에 대해서는 나 역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학시절 때 읽은 책을 보면 거의 자기개발서였다. 취업에 대한 고민과 성공에 대한 갈망, 지금 이렇게 살고 있는 것이 맞는 것인지 되돌아보기 위해서, 남들은 어떻게 했나 하는 관음증, 조금 편하게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방법을 따라 가다 보면 무엇인가 이룰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들이 자기개발서에 손을 내밀게 만들었던 것 같다. 어느 순간부터는 자기개발서에 손을 끊었다. ‘결국 뻔.. 2015. 3. 10.
미움받을 용기 “인간은 과거의 원인에 영향을 받아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정한 목적을 향해 움직인다.”《미움받을 용기》를 한 문장으로 가장 잘 표현한 문장인 듯 하다. 정통적인 심리학의 방법론으로 프로이트를 중심으로 한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우리의 행동을 설명하지 않고,새로운 방식인 ‘목적론’으로 접근한다. 아들러 심리학에서 제시하는 이론들은 현실을 살아가고, 앞으로의 좀 더 나은 삶을 희망하는 이에게 힘을 실어준다. 단순히 시장경제의 논리 속에서 기업의 하나의 부속품으로서 근면을 강조하는 자기개발서와는 분명 다르다고 생각된다. 아들러 심리학에서 제시하는 몇 가지 정의부터 알아본다 ▶ 과제의 분리이것은 누구의 과제인가? 라는 관점에서 자신의 과제와 타인의 과제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누구도 내 과제에 개입시키지 말.. 2015.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