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을 읽어야 한다는 것은 잘 알고 있다. 그 필요성과 절실함도 잘 알고 있다. 알면서도 힘든게 바로 중국 고전을 읽는 것이다. 논어, 맹자, 중용 등에 대해서 읽으려 했으나 항상 중간에 포기하고 돌아서 버렸다.

이 책은 그 고전들을 읽기 위한 준비 운동이라고 해야 하나. 무언가 흥미와 감을 찾기 위한 것이었다. 이미 상도를 통해 최인호 작가의 매력을 알고 있어 <소설 공자>를 선택하는 망설임은 없었다.

소설 형식으로 풀어주는 공자의 이야기가 흥미로우며, 4대 성인(예수, 부처, 공자, 마호메트 또는 소크라테스 의견분분) 중의 한 명이지만, 그의 삶은 다른 성인들에 비해서 지극히 현실적인 인물이며 개인적인 정치적 욕망을 드러내는 것 또한 흥미롭게 다가온다.

이와 함께, 중국 아니 세계의 역사상 흥미로운 만남이라 할 수 있는 공자와 노자의 만남 또한 흥미롭게 다가왔다. 그들이 어찌 보면 서로 다른 사상을 추구하는 두 현인이 만났기에 그 만남이 너무나 궁금했는지도 모른다.

논어를 읽기위한 준비운동으로는 너무 좋은 책이었다. 역시 최인호 작가님~



나무는 고요히 있고자 하여도 바람이 멈추지 않고, 자식은 부모님을 부양하려 하나 부모님이 기다려주지 않습니다.

임각굴정(臨渴掘井) - 목이 말라서야 우물을 판다.
"신이 생각하기에는 소공은 노나라로 다시 돌아간다고 하더라도 현군은 되지 못할 것입니다. 이것은 사람이 물에 빠진 후에야 물에 빠진 원인을 알고자 하고, 길을 잃은 다음에야 길을 묻는 것과 같습니다. 비유하건대 마치 위급함에 처해서 부랴부랴 무기를 주조하고, 목구멍이 막히고 목이 마르고서야 비로소 우물을 파는 것과 같아서 아무리 빠르게 무기를 만들고 우물을 파더라도 이미 늦은 것입니다."

의기양양(意氣揚揚) - 우쭐거리며 뽐낸다.
- 재상의 마부가 마치 자기가 재상인양 우쭐거리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양두구육(羊頭狗肉) - 양머리를걸어두고 실제로는 개고기를 팔고 있다.
- 겉과 속이 일치하지 않음을 비유한 말이다.

차도살인(借刀殺人) - 남의 칼을 빌려 적을 제거한다.

경공이 공자에게 '정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물었을 때 공자께서는 대답하셨다.
"임금은 임금다워야 하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하며, 아버지는 아버지다워야 하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합니다."

물은 만물을 도와서 생육시켜주지만 자기 주장을 하지 않고 누구나 싫어하는 낮은 곳으로 낮은 곳으로 내려간다. 물은 무언가 한다는 자의식 없이 자연을 돕고 만물을 소생시킨다. 따라서 무엇인가 작위하려는 자기욕망을 끊고 물처럼 무위의 경지에 도달한다는 것이 도이며, 이것이 바로 '도는 항상 무위하지만 하지 않는 일이 없다.'는 최상의 도인 것이다.

외교의 목적은 단 한 가지뿐, 상대국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오직 자국의 이익을 위하는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확고한 원칙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보다 큰 실리를 얻기 위해서는 작은 손실을 감수해야 하며, 힘으로 밀어붙이는 외교술보다는 명분을 중시하는 외교에 더욱 전념해야 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재물과 색을 버리지 못하는 것은 마치 칼날에 묻은 꿀을 핥는 것과 같다. 한 번 입에 대는 것도 못할 일인데 어린아이들처럼 그것을 핥다가 혀를 상한다. 모든 욕망 가운데 성욕만큼 더한 것은 없다. 성욕의 크기는 한계가 없는 것이다. 다행히 그것이 하나뿐이었기에 망정이지 둘만 되었어도 도를 이루어 부처가 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애욕을 지닌 사람은 마치 횃불을 들고 거슬러가는 것과 같아 반드시 횃불에 화를 입게 될 것이다.

와신상담(臥薪嘗膽) - 섶 위에서 잠을 자고 쓸개를 핥는다.

군자는 중후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으니 학문을 해도 견고하지 못하다. 우러나는 마음과 믿음 있는 말을 주로 하며, 나보다 못한 사람과 벗하지 말며, 잘못을 깨달았을 때에는 고치기를 꺼리지 않는다.

순임금
"그대들과 같은 신하는 짐의 팔과 다리요, 눈과 귀로 내가 백성을 위해 돕고자 하니 그대들이 대신해 달라."

철학자 스피노자는 말하였다.
"지금 이 순간을 현재의 눈으로 보지 말고 먼 영원의 눈에서 현재를 보라."

진항은 말하였다.
"내가 왕을 죽인 것은 썩은 사직을 바로잡고 나라를 부흥시키려는 일념이었소. 그러니 나를 지지하여주시오."
이에 자연서는 조금도 동요하지 않고 대답했다.
"당신은 나에게 무엇을 바라는가. 나를 지혜롭다고 생각하는가. 신하가 그 임금을 시해하는 것을 지혜로운 사람은 지지하지 않는다. 또 당신은 나를 어질다고 생각하는가. 자신의 이익을 챙기기 위해서 그 임금을 배반하는 것을 어진 사람은 싫어한다. 당신은 내가 용감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가. 무력으로 나를 위협하고 겁주어서 내가 두려워 당신에게 굴복한다면 나는 용감한 자가 아니다. 나에게 지인용(智仁勇)의 세 가지 덕목이 없다면 내가 당신에게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반면에 내가 이 세 가지의 덕목을 가졌다면 내가 어찌 당신을 따를 수가 있겠는가."

자하가 말하였다.
"널리 배우되 독실하게 뜻을 가지고, 간절히 묻고 가까운 것으로부터 생각하면 인은 그 가운데 있는 것이다."

자하가 말하였다.
"모든 장인은 공장에 있으면서 자기 일을 완성하고, 군자는 학문을 통해 자기의 도에 이른다."

자하가 말하였다.
"소인은 잘못을 저지르면 반드시 꾸며댄다."

자하가 말하였다.
"군자는 신뢰를 얻은 뒤에 백성을 부릴 수가 있다. 신뢰가 없으면 자기들을 학대한다고 여긴다. 또한 신뢰를 얻은 뒤에 임금에게 간해야 한다. 신뢰가 없으면 자기를 비방한다고 여긴다."

자하가 말하였다.
"큰 덕은 한계를 넘어서는 안 되지만 작은 덕은 약간의 한계를 넘어도 괜찮다."

자하가 말하였다.
"어진 이를 어진 이로 대하되 낯빛을 좋게 하며, 부모를 섬기되 능히 그 힘을 다하며, 임금을 섬기되 능히 그 몸을 다하며, 친구를 사귀되 말함에 신의가 있으면 누가 아직 학문하지 않았다고 말하더라도 나는 필히 그가 학문하는사람이라고 말할 것이다."

"나는 매일 내 자신에 대해서 세 가지를반성한다. 남과 일을 꽤함에 있어 불충실하지는 않았는가. 친구들과 사귐에 있어 신의를 잃지 않았는가. 스승에게서 배운 것을 익히지 않은 바가 없었는가"

우리의 몸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다치지 않는 것이 효도의 시작이며, 출세하여 후세에 이름을 날려 부모를 드러내는 것이 효도의 끝이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