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정능력지수2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공정능력지수 공장관리기술사 - 토픽 모음더보기(112회-1교시-7번)1. 공정능력지수 (Process Capability Index)의 개념- 단순히 제품의 품질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공정 자체의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임. 이는 현재 공정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변동성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고객이 원하는 품질 수준을 지속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중요함 2. 공정능력지수의 목적- 품질 관리 및 개선: 공정능력지수를 통해 현재 공정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 불량 예측 및 예방: 낮은 공정능력지수는 불량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이므로, 미리 문제를 예측하고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음- 고객 만족도 향상: 안정적인 공정 능력은 품질.. 2025. 4. 9.
공정능력지수(Process Capability Index) 1. 공정능력(Process Capability)이란? - 제조공정의 산포관리 능력을 '공정능력'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공정능력이란 제조공정이 얼마나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를 반영하는 공정의 고유 능력이다. 2. 공정능력지수(Process capability index)란? - 규격의 산포허용 범위에 비추어 산포관리를 얼마나 잘 하는지 평가하는 척도이다. - 공정능력지수 Cp = (USL - LSL) / 6σ - 공정 능력지수 값이 커질수록 규격범위를 벗어나는 제품이 나올 확률이 적어진다. - 일반적으로 공정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을 경우에는 치우침(K)의 정도를 고려한 공정능력지수를 나타내는 Cp 대신 Cpk라고 쓴다. (공식: Cpk = (1-K)(USL-LSL) / 6σ = .. 2020. 4.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