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mart Factory/□ 공장 관리30

스마트팩토리와 공장자동화의 차이점 ■ 스마트팩토리와 공장자동화의 차이점 스마트팩토리는 과거부터 존재한 공장자동화의 연장선상에 있는 개념이다. 생산시설을 무인화하고 관리를 자동화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반면 스마트팩토리는 전후 공정간 데이터를 자유롭게 연계할 수 있어 총체적인 관점에서 최적화를 이룰 수 있으나 공장자동화는 단위 공정 별로만 최적화가 이뤄져 있어 전체 공정이 유기적이라고 보기 어렵다. 스마트팩토리의 핵심은 '자동화'에서 한 단계 진화한 '디지털화' 1) 스마트팩토리는 기획, 설계, 생산, 유통, 판매 등 전 생산과정을 정보통신기술(ICT)로 통합해 최소의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진화된 공장으로 이러한 전 과정에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으로 통합해 자동화와 디지털화를 구현하는 게 .. 2020. 5. 26.
스마트공장(Smart Factory) 수준 ■ 스마트공장(Smart Factory) 수준 5단계 ■ 스마트공장(Smart Factory) 기능별 수준 5단계 2020. 5. 18.
스마트팩토리 - 물류 ■ 제조업의 생산방식 전환으로 AGV 도입 중 제조업의 경우에도 소비의 질적 수준이 향상되고, ICT 혁신 신기술의 빠른 속도의 확산으로 제품의 Life-Cycle이 매우 짧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조업의 생산방식 또한 소품종 대량생산에 적합한 Line방식의 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Cell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OHS(Over-Head Shuttle), 컨베이어 등 고정장치 중심의 물류시스템이 이동, 경로 변경이 용이한 AGV로 바뀐 가능성이 높다. 특히 자율주행 방식의 AGV(AMR)의 활용이 빠른 속도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Line Tracer 방식의 AGV 생산업체들도 자율주행 기술의 도입 또는 산학 협력 등을 통한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것.. 2020. 5. 17.
MES 참조모델 (MESA, ISA-95) ■ MES란 무엇인가? MES는 주문부터 완제품까지 생산활동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정보관리 및 제어솔루션으로 제조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생산현장은 일반적으로 많은 설비와 인력, 복잡한 공정 또는 자동화에 따른 빠른 생산속도 등의 이유로 제품생산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MES는 제품을 생산하는 현장에서 시시각각 발생하는 생산정보를 4M(자재,설비,작업방법,작업자)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수집,집계하고, 실시간으로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현장 작업자에서 경영층에 이르기까지 생산현장의 실시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환경을 제공한다. 이뿐만 아니라 관리자 및 경영층에서 내린 의사결정 정보가 다시 현장에 전달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생산하는 제품에 제품에 따라.. 2020. 4. 29.
공정능력지수(Process Capability Index) 1. 공정능력(Process Capability)이란? - 제조공정의 산포관리 능력을 '공정능력'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공정능력이란 제조공정이 얼마나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를 반영하는 공정의 고유 능력이다. 2. 공정능력지수(Process capability index)란? - 규격의 산포허용 범위에 비추어 산포관리를 얼마나 잘 하는지 평가하는 척도이다. - 공정능력지수 Cp = (USL - LSL) / 6σ - 공정 능력지수 값이 커질수록 규격범위를 벗어나는 제품이 나올 확률이 적어진다. - 일반적으로 공정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을 경우에는 치우침(K)의 정도를 고려한 공정능력지수를 나타내는 Cp 대신 Cpk라고 쓴다. (공식: Cpk = (1-K)(USL-LSL) / 6σ = .. 2020. 4. 28.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 수준 진단평가 ■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 수준 진단평가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국내 제조기업이 자사의 공장 수준을 객관적으로 진단,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모델 도입 스마트공장 진단모델은 전략 및 리더십, 프로세스, 시스템/자동화 구축 여부, 성과 등을 포괄하는 종합평가체계를 발표해 KS 표준화를 진행하고 맞춤형 진단컨설팅도 제공 (4개 분야, 10개 영역, 95개 세부 평가항목으로 1000점 만점, 영역별로 다섯 단계의 수준별 인증을 실시) 구분 평가 영역 주요 내용 평가 항목 수 경영시스템 (100점) 리더십/전략 리더십, 운영전략, 실행관리, 성과관리 및 개선 8 프로세스 (400점) 제품개발 설계 및 제작, 개발관리, 공정개발 12 생산계획 기준정보관리, 수요 및 주문대응, 생산계획 5 공정관리 작업.. 2020. 4.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