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회-3교시-1번)
설비관리의 기술적 측면에서 활용되고 있는 신뢰성, 보전성, 유용성에 대한각각의개념을 설명하고, 신뢰성, 보전성, 유용성을 나타내는 지표를 설명하시오.
설비 관리는 생산 시스템의 핵심 요소인 설비의 성능과 수명을 최적화하는 활동임. 설비 관리의 기술적 측면에서 신뢰성(Reliability), 보저성(Maintainability), 유용성(Availability)은 설비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개념임. 이 세가지 개념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효과적인 설비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각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적절한 지표를 활용해야 함
1. 설비 관리 지표
1) 신뢰성(Reliability)
- 개념: 설비가 주어진 조건에서 의도하는 기간 동안 정해진 기능을 고장없이 수행할 확률임. 즉, 설비가 얼마나 안정적으로 작동하는지 나타내는 척도임
- 지표
①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s): 평균 고장 간격, 수리가 가능한 설비의 평균적인 고장 발생 간격을 의미함. 값이 클수록 신뢰성이 높음
② MTTF(Mean Time To Failure): 평균 고장 시간, 수리가 불가능한 설비의 평균적인 수명을 의미함. 값이 클수록 신뢰성이 높음
③ 고장률(Failure Rate): 단위 시간당 고장 발생 횟수를 나타냄. 값이 작을수록 신뢰성이 높음
2) 보전성(Maintainability)
- 개념: 고장 난 설비를 정상 상태로 복구하는 데 걸리는 시간, 즉 수리 용이성을 나타냄. 보전성이 높을수록 설비의 다운타임을 줄이고 가동 시간을 늘릴 수 있음
- 지표
① MTTR(Mean Time To Repair): 평균 수리 시간, 고장 난 설비를 수리하는 데 걸리는 평균시간을 의미함. 값이 작을수록 보전성이 높음
② 수리 가능도(Repairability): 주어진 시간 내에 설비를 수리할 확률임. 값이 클수록 보전성이 높음
3) 유용성(Availablity)
- 개념: 설비가 요구되는 시점에 정상적으로 작동할 확률, 즉 설비의 가용성을 나타냄. 신뢰성과 보전성 모두에 영향을 받음
- 지표
① 가동률(Availability): 설비가 가동 중인 시간의 비율을 나타냄. 일반적으로 MTBF와 MTTR을 이용하여 계산함 = MTBF / (MTBF + MTTR)
② 정지 시간(Downtime): 설비가 고장으로 인해 작동하지 않는 시간임
2. 설비 관리 지표 활용
- 성능 평가: 설비의 현재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활용함
- 목표 설정: 개선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 정도를 측정하는 데 활용함
- 의사 결정: 예방 보전 계획 수립, 설비 교체 결정, 보전 방법 선택 등 의사 결정에 활용함
- 개선: 설비 관리 시스템을 개선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데 활용함
'■ Smart Factory > □ 공장관리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Cellular Manufacturing System (0) | 2025.04.19 |
---|---|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Two Bin & Mini-Max (0) | 2025.04.19 |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경제적 주문량(EOQ) (0) | 2025.04.19 |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다구찌 품질공학 (0) | 2025.04.19 |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JIT Ⅱ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