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이 좋다.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들이 많이 있는데, 지금까지 원작만큼의 감동을 받은 경우는 많지 않았다.

사람들이 책을 왜 읽느냐? 는 질문에 사람들이 의례하는 대답은 '간접경험'을 할 수 있다는 말이다. 마치 문제에 대한 답을 툭 뱉어내듯이 하는 말이다. 그 대답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그들이 대충 대답하는 '간접경험' 이라고 나 역시 말하고 싶지는 않다는 생각을 해본다. 때로는 내가 경험해보지 못한 일에 대해서 소설 속 등장인물과 같이 호흡하면서 심장이 두근거리기도 하고 눈가에 엷게 빛나는 막이 생기기도 한다. 이런 감정을 그저 한 마디 '간접경험'이라고 말해버리기가 싫다.


최근에 깊이 빠져든 작가가 있다. 그 분의 책들을 읽을 때는 정말 무언가 찌릿찌릿하다는 표현이 나올 정도의 감정이 나도 모르게 튀어나오고, 때로는 헛웃음으로 그리고 깊은 한숨으로 나오기도 한다. 바로 박범신 작가이다.

그의 작품 중에서《소금》, 《은교》을 먼저 접하고 나서 이번에 《촐라체》를 만났다. 그리고 나서 앞으로의 그의 전작을 읽기로 마음 먹었다. 특히, 히말라야 촐라체 등정 후 조난 사고를 당한 주인공들의 삶을 향한 지독한 여정을 그린《촐라체》를 읽으면서는 나도 읽는 내내 등장인물들 개개인 모두에게 감정이입이 되지 않을 수 없었다.


p216

히말라야에 도전하는 클라이머에겐 적어도 세 가지 용기가 구비되어야 한다는 김선배의 말도 이제 떠오른다. 가정과 사회를 과감히 던져버릴 수 있는 용기가 그 첫 번째이고, 죽음을 정면으로 맞닥뜨릴 만한 배짱이 그 두 번째이고, 산에서 돌아오고 나서 세상으로 다시 복귀할 수 있는 의지와 열망이 그 세 번째 용기다.


비록 가정과 사회생활과 제 목숨까지 걸고 산을 오르지만, 산을 오를 때조차, 돌아와 세상과 사랑하는 사람에게로의 복귀를 꿈꾸는 것이 진정한 알피니즘의 정신이라는 뜻이다.



《촐라체》는 산악인 박정헌과 최강식이 악명 높은 히말라야 촐라체에 오르고 나서 하강하던 중 최강식이 박정헌과 안자일렌(함께 등반하는 사람끼리 줄로 몸과 몸을 연결하여 안전을 확보하는 것) 상태에서 크레바스에 빠지고 생사의 기로에 서게 된 실화를 모티브로 삼고 있다.


그럼 작품 속으로 들어가보도록 하자.


같은 어머니에 아버지가 서로 다른 두 형제 박상민과 하영교는 히말라야 촐라체에 등반을 하려 한다. 이들이 촐라체에 함께 오르게 되기까지는 어린 시절의 상처와 서로의 사정을 알지 못한채 마음 속 깊이 쌓여 있는 오해가 둘 간의 사랑과 증오로 쌓이면서 시작된다. 그리고 각자의 삶에 대한 깊은 회의가 그들을 이곳으로 이끌었다. 그리고 작중 화자인 나는 아들 현우가 '외로워서요'라는 말을 남긴채 절로 떠나면서 히말라야로 가게 되었고 그곳에서 두 형제의 캠프지기가 되었다.


상민과 영교는 우여곡절 끝에 촐라체 정상에 오르고 나서 내려오던 중 동생 영교가 상민과 안자일렌 상태에서 크레바스에 빠지게 되고 극심한 고통 속에서 상민은 연결되어 있는 줄을 끊어야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한다. 결국 함께 하기를 마음 먹지만 줄은 바위에 오랫동안 쓸려 잘리고 영교는 크레바스 속에 빠진다. 영교는 크레바스 속에서 이전에 이 속에서 죽음을 맞게 된 한 산악인을 보게 되고, 그의 피켈을 얻어서 나가게 된다.  상민 또한 후에 크레바스 안으로 스스로 들어가 그 산악인의 머리카락을 수습하고 나온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둘은 갈비뼈가 으스러지고 발목이 돌아가며 동상이 걸리면서 생사의 기로에 서게 된다. 그리고 작중 화자인 나는 베이스캠프로 복귀할 날이 지난 그들을 찾아나선다. 


그 속에서 둘 사이의 맺혀진 한이 풀리고, 나는 아들 현우를 이해하게 되고 그동안의 삶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는데......





소설을 읽는 것이 드라마나 영화를 보는 것보다 좋은 가장 큰 이유는 무한으로 뻗어나가는 상상력을 책을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한다는 점이다. 영교와 상민이 얼음 위에 피켈로 내리 칠 때, 나 역시 얼굴에 튀는 그 얼음 조각을 생각해보기도 하고 아이스스크루에 매달려 자는 대목에서는 나 역시 히말라야의 바람을 가슴 속으로 맞아보기도 했다. 안자일렌 상태에서 영교가 크레바스에 빠졌을 때 상민의 몸이 줄에 감겨버리고, 갈비뼈가 부러질 때도 내가 그가 되어 그 모습을 상상해보기도 했다. 입김을 호~ 불어가면서 추위도 상상해본다. 영상으로 본다면 그저 시각적으로 어떤 생각과 필터없이 그대로 받아들였을 것이다.


《촐라체》에서는 산악등반 관련된 장비 이름이라던가 전문 용어가 그대로 설명없이 나온다. 일부 용어는 읽으면서 그 모양을 찾아보기도 했지만, 대체적으로 문맥 상으로 어떤 것일거라는 짐작은 간다. 그 만큼 알지 못했던 세계에 대한 경험을 할 수 있었던 점이 무엇보다 좋았으며, 이야기 속에서 생각할 거리를 많이 던져 준다.


생사를 오가는 극한 속에서 심적 갈등과 꺼져가는 의지를 잡아가며 결국은 돌아오는 그들의 모습 속에서......

히말라야라는 상징을 바탕으로 같이 떠나는 여정이지만 아마도 개개인의 잃어버린 자아를 찾기 위한 것이었음을 알아가면서......

나 역시 이런 저런 생각을 해본다. '사람은 외로운 존재로구나!'


우물 밑에 그가 있다 천 년을 산

검은 망토를 둘러쓰고

오늘도 물레를 돌린다 향기로운 침묵 속에서 

앞으로 돌리면 어둠이 나오고 뒤로 돌리면 빛이 나온다. 

서로 살 섞어 때로는 밝은 어둠 때로는 어두운 광채

그는 웅크리고 행복하게 일하지만

키는 하늘에 닿고 어깨 넓이는 지평선보다 넓다.

내가 세상에서 제일 좋아하는 할아버지



박범신 작가의 다른 책 읽어보기


▶ 고산자 (문학동네) - 2009년 대산문학상 수상작

   http://zorbanoverman.tistory.com/453

▶ 산다는 것은 (한겨레출판)       

   http://zorbanoverman.tistory.com/450


▶ 소금 (한겨레출판)





반응형

'■ 책과 영화 > □ 소설,수필,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년 - 다자이 오사무  (0) 2014.11.28
산다는 것은 - 박범신  (0) 2014.11.28
밥그릇  (0) 2014.10.22
바람 부는 날이면  (0) 2014.10.22
차남들의 세계사  (0) 2014.10.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