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시대로부터 따돌림당했으니 고산자(孤山子)요.

나라가 독점한 지도를 백성에게 돌려주고자 하는 그뜻이 드높았으니 고산자(高山子)요.

고요하고 자애로운 옛 산을 닮고 싶어했으니, 그는 고산자(古山子)라고도 했다.

그의 이름이 김정호(金正浩)라고 했다.


《고산자》 라는 제목은 어디에서 나왔을까?

박범신 작가의 책을 한 권 한 권 찾으면서 제목과 간단한 소개글을 읽어보았다.  《고산자》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누구나 알고 있을 '대동여지도'를 남긴 김정호에 관한 이야기다. 역사와 소설을 좋아하기에 망설임없이 손에 잡았다. 책을 다 읽고 나서 글을 남기면서 알게 되었다. '고산자'는 바로 김정호의 호였다. 


김정호가 어떤 삶을 살았는지 잠시 찾아보았는데, 그의 생애와 후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으며, 생몰년도 또한 알 수 없었다. 다만 딸이 하나 있었는데 아버지의 지도 판각을 도왔다고 한다.


어쩌면 그의 이러한 알려지지 않은 삶이 작가 박범신의 눈에 들었는지도 모른다. 기록되지 않은 그의 삶은 이렇게 역으로 이야기를 통해서 찾아가게 된다. 조선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인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와 <대동지지>는 1864년(고종1)인 것으로 보아 그는 순조, 헌종, 철종 대에 거친 사람으로 추정된다.


작가는 알려지지 않은 그의 삶을 어떻게 이야기로 만들어 냈을까. 소설 속으로 들어가본다.


고산자의 아버지는 홍경래의 난 때 지원대에 들어오면 전정, 군정, 환곡과 같은 세금을 면해준다는 현감의 거짓약속에 산속으로 들어간다. 후에 아버지와 함께 떠난 사람들은 추위와 식량이 없고, 산을 빠져나오는 길을 찾지 못해서 산속에서 죽게 된다. 그 때 그의 아버지의 손에는 관에서 준 잘못된 지도 한 장이 있었다. 당시 지도는 관에서만 소유하고 있었는데 고산자는 이렇게 사람을 죽이는 지도가 아닌 자기네와 같은 일반 백성들의 생활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지도를 만들고자 했다. 그렇게 전국을 떠돌아다니며 지도를 만든다. 그리고 그 속에서 비구니가 된 묘허와의 인연이 이야기의 깊이를 더해준다. 


이야기는 역시 <대동여지도>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퍼지면서, 그 배경은 홍경래의 난, 조선후기의 세도정치, 천주교와 서학의 배척과 같은 역사적인 배경 속에서 사건들이 서로 이어져 나간다. 그리고 그 속에서 지도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고, 지금도 여전히 이어지는 영토문제를 빼놓지 않는다.


우선 새롭게 알게 된 것은 보통 지도를 만들 때는 지지를 함께 만든다는 것이다. 


p14

지지는 지도에 다 토달 수 없는, 이를테면 각 고을의 연혁 관원 고읍 풍속 호구 봉산 진보 영진 등 수많은 정보들을 편목별로 구분해 기록한 책이다. 지도가 있으면 그에 따른 지지가 있어야 산하와 사람살이가 입체성을 갖추는 것이니, 지도와 지지는 언제나 한통속으로 맺어져야만 피차 제 구실을 할 수 있다. 이번 대동여지도의 판각이 끝나고 나면 당연지사 대동지지 편찬에 곧 착수할 터이다.

 

책 속에서 소개되는 영토문제는 독도, 대마도, 간도 지역이다. 

특히, 독도에 관련된 이야기가 길게 나오는데 그 이유는 대동여지도에는 독도가 표기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가끔 독도에 관한 소식을 듣다 보면, 일본의 고지도에서 독도가 조선의 땅으로 표기되어 있다는 말을 듣곤 한다. 반대로 일본은 조선의 대표적인 지도인 대동여지도에는 독도(우산도)가 없다라는 말을 하기도 한다.




p202

대동여지도는 아래위와 좌우로 접는 분첩절첩식이다.

전 국토를 남북으로 백이십 리 간격, 스물두 첩으로 나누고 한첩을 다시 동서 팔십 리 간격으로 나누어, 접으면 하나의 서책이 되도록 고안하고, 때에 따라선 그 서책에서도 필요한 첩과 절을 빼내어 간편히 휴대할 수 있게 한 것은, 지도의 효용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했기 때문이다. 울릉도는 열다서번째 첩의 가장 오른쪽 절로 배치된바, 만약 우산도를 새기려면 울릉도에서 우산도가 이백 리는 안 된다고 쳐도 최소한 팔십리 간격의 절이 두 세 개가 더 필요해진다. 그중에서도 두 절은 바다 뿐이다. 그렇다고 해서 축척을 무시하고 다른 지도들이 그렇듯 울릉도에 바짝붙여서 그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러니 새기는 것도 불편하거니와, 아무것도 없는 빈 목판을 끼워맞춰 지도를 찍어내는 것도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


더구나 우산도는 사람이 살지 않는 섬이다. 대동여지도를 그릴 때 그의 뜻은 지도로써 사람살이를 이롭게 하자는 것에 두었으니 목판본으로 제작하면서 사람이 살지 않는 모든 작은 섬까지 하나도 빼놓지 않고 모조리 새겨놓을 수 없는 노릇이고 그럴 필요성도 없다. 필사본과는 사정이 이렇게 다르다. 대동여지도도는 펼쳐놓으면 동서로 대략 스물두 척이 넘는다. 판각 자체의 어려움 때문에 , 그가 스스로 그렸던 동여도에 수록된 지명을 대동여지도에서 오히려 오천여 곳이나 뺀 것도 그렇거니와, 그러저러한 제작과정의 어려움이나 효용성 때문에 우산도를 뺀 것이다.


고지도를 보면 정말 지금 생각하면 우스울 정도로 정확하지 않고 사람들의 심리가 반영되어 자기들이 사는 곳이 비대하게 그려진다. 하지만 <대동여지도>를 보면 지금처럼 위성이나 하늘에서 바라볼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이렇게 유사하게 그려낼 수 있었는지 놀라울 뿐이었다. 실제 김정호는 벗들을 통해서 관의 지도를 볼 수도 있었다고 하지만, 무엇보다도 그런 지도가 나올 수 있었음은 아마도 평생을 오로지 우리 강토와 산하만을 바라보며 살아온 그의 구도적인 삶 때문일 것이다.


작품의 마지막에 마포나루에서 고산자가 떠나는 장면이 나온다.

그 중에서 마음에 드는 것은 그가 떠난 후,

"어떤 이는 그가 일찍이 남몰래 보아둔 옛산에 들어가 푸른 정기에 기대 살아 백 살이 넘고도 젊은이처럼 먹고, 일하고, 자주 환하게 웃었다 한다."

그의 마지막 삶이 정말 이랬으면 하는 바램과 함께 그의 혼이 망가져가는 산하, 강토를 지켜주기를 바랄뿐이다.



 박범신 작가의 다른 책 


▶ 촐라채                 http://zorbanoverman.tistory.com/447



반응형

'■ 책과 영화 > □ 소설,수필,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  (1) 2015.02.04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2) 2015.02.03
만년 - 다자이 오사무  (0) 2014.11.28
산다는 것은 - 박범신  (0) 2014.11.28
촐라체  (0) 2014.10.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