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오른쪽 위에 이런 글귀가 쓰여져 있다.

"세상 모든 책을 삶의 재료로 쓰는 법"

중요한 것은 바로 삶인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어떤 이유에서 인지는 알 수 없지만 자기에게 주어진 삶을 진심으로 진정으로 묵묵히 살아가는 것이다. 여기에 삶의 조언을 얻기 위해 아낌없이 주고 열렬히 읽는 자에게는 무한한 것을 주는 것이 바로 책인 것이다.

책에는 많은 것이 숨겨져 있다. 애써서 사람들에게 그 숨겨져있는 것을 보여주려고 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것을 기꺼이 찾으려고 하는 자에게는 너무나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깊이 숨겨놓지는 않는다. 나는 과연 이런 책에서 어떤 것들을 찾아내고 있을까 잠시 생각해 본다.

책 속에 나오는 질문 "왜 책을 읽는가?" 라는 질문을 책을 읽는 내내 혼자 머리속에 되뇌었고, 이렇게 글을 쓰면서도 계속 생각하고 있다. 책에 관련된 책을 읽다보면 책을 읽는 이들은 아마도 무언가 공통적인 것을 책에서 찾아냈다는 것을 알게 되는 순간이 온다. 그리고 아마도 그것이 바로 "왜 책을 읽는가?"라는 질문의 해답이 될 듯하다.

내 대답은 바로 "삶을 풍부하게 살 수 있게 해주는 책" 이다.
책을 읽어가면서 세상에 대한 관심이 더 생겨나는 듯하다. 박웅현의 [책은 도끼다]에서 김훈의 [자전거 여행]을 만나고, 그 속에서 자연을 대하는 작가 김훈을 마주하게 되었다. 다음 날 출근 길에 평소와 다르게 붉게 해가 뜨는 모습이 보이고, 물안개가 피어오르는 모습이 보이기도 했다.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을 읽고 여러 사건 속에서도 자신의 감정대로 행동하는 모습이란 과연 어떤 것인가? 라는 인간에 대한 나 자신에 대한 생각을 하기도 했다.

시오노 나나미의 [십자군 이야기]를 읽고 이스라엘과 중동의 소식을 듣고, 아직도 십자군 전쟁은 끝나지 않았구나? 종교란 과연 무엇인가? 라는 생각을 하게도 만들었다.

책을 읽는 것이 나에게 금전적으로 어떤 도움을 주거나 경제적으로 풍요롭게 해주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단지 글자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이 책 속에는 한 작가의 삶이 그대로 녹아 들어가 있으며, 깊은 고뇌가 들어가 있음은 읽는 자들이 미리 알고 있으리라 생각이 든다. 이런 삶들이 나에게 말해 준다. 나는 단지 겸허하게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다. 겸손하게 나와는 다르지만 같은 인간으로서 함께 공감하고 서로 느끼는 것이다.

이것이 삶이라고 생각한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