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mart Factory/□ 공장관리기술사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VA, VE

by Broaden 2025. 4. 21.

공장관리기술사 - 토픽 모음

더보기

(109회-1교시-8번)

. VA와 VE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VE와 VA의 개념을 각각 설명하고, VE의 추진단계 중 기능분석단계에서진행하는‘기능 평가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VA (Value Analysis)와 VE (Value Engineering)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론으로, 기능과 비용을 분석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필요한 기능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두 개념은 매우 유사하지만, 적용 시점과 대상에 차이가 있음

 

1. VA (Value Analysis)

1) 정의: 이미 존재하는 제품, 프로세스, 서비스의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기능을 분석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체계적인 기법임. 즉, '사후 개선' 활동이라고 할 수 있음

2) 목표: 기존 제품/서비스/프로세스의 불필요한 비용을 제거하거나 절감하고,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

3) 적용 시점: 양산 단계 또는 그 이후에 적용

4) 특징:

 - 이미 존재하는 대상을 분석하고 개선함

 - 현상 분석에 중점을 둠

 - 개선 아이디어 발굴 및 적용에 초점을 맞춤

5) 주요 활동:

 ① 대상 선정: 가치 분석을 적용할 대상(제품, 프로세스, 서비스)을 선정함

 ② 정보 수집: 대상에 대한 관련 정보(설계 자료, 원가 자료, 생산 데이터 등)를 수집함

 ③ 기능 분석: 대상의 기능을 정의하고, 각 기능의 중요도를 평가함 (예: FAST 다이어그램)

 ④ 기능 평가: 각 기능에 소요되는 비용을 추정하고, 기능의 가치와 비용을 비교 분석함

 ⑤ 아이디어 창출: 기능을 개선하거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창출함 (예: 브레인스토밍)

 ⑥ 아이디어 평가: 창출된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최적의 대안을 선정함

 ⑦ 실행 및 평가: 선정된 대안을 실행하고 결과를 평가함

 

2. VE (Value Engineering)

1) 정의: 제품 개발 초기 단계(설계 단계)부터 가치 향상을 목표로 기능 분석, 아이디어 창출, 대안 평가 등을 수행하는 활동임. 즉, '사전 예방적' 접근 방식이라고 할 수 있음

2) 목표: 신제품 또는 신규 프로세스 개발 시 최적의 가치를 확보함

3) 적용 시점: 제품 개발 초기 단계(설계 단계)에 적용

4) 특징:

 - 설계 단계에서 가치 향상을 고려함

 -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출을 중요시함

 - 사전 예방적 접근을 통해 문제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함

5) 주요 활동:

 ① 대상 선정: VE를 적용할 대상(제품, 프로세스, 서비스)을 선정함

 ② 정보 수집: 대상에 대한 관련 정보(고객 요구 사항, 시장 동향, 기술 동향 등)를 수집함

 ③ 기능 정의: 대상이 제공해야 할 기능을 명확하게 정의함

 ④ 기능 분석: 정의된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함 (예: FAST 다이어그램)

 ⑤ 아이디어 창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창출함 (예: 브레인스토밍)

 ⑥ 아이디어 평가: 창출된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최적의 대안을 선정함

 ⑦ 상세 설계: 선정된 대안을 바탕으로 상세 설계를 진행함

 ⑧ 실행 및 평가: 설계를 실행하고 결과를 평가함

 

3. VA와 VE의 관계

- VA와 VE는 모두 가치 향상을 목표로 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VA는 이미 존재하는 제품/서비스/프로세스를 대상으로 하는 사후 개선 활동이고, VE는 신제품/신규 프로세스 개발 단계에서 적용되는 사전 예방적 활동이라는 차이점이 있음

- VE는 VA의 개념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음. 즉, VE는 VA의 활동을 설계 단계에서 미리 수행하는 것임

- 두 방법론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 예를 들어, VE를 통해 개발된 제품이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VA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될 수 있음


VE의 추진단계 중 기능분석단계에서진행하는‘기능 평가방법’

 

기능 분석 단계에서는 제품/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명확히 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과정이 이루어짐. 기능 평가 단계에서는 이렇게 정리된 기능의 가치(중요도)와 비용을 평가하여 개선 방향을 설정하게 됨

 

1) 기능 대비 비용 분석 (Function vs. Cost Analysis)

- 개념: 각 기능에 소요되는 비용을 추정하고, 기능의 중요도와 비교하여 개선 대상을 파악함

- 방법

 ① 기능별 비용 추정: 각 기능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추정함

 ② 기능 중요도 평가: 고객의 관점에서 각 기능의 중요도를 평가함 (예: 상대 평가, 점수 부여 등)

 ③ 기능-비용 매트릭스 작성: 가로축에 기능 중요도, 세로축에 기능별 비용을 표시하여 매트릭스 작성

 ④ 개선 대상 기능 선정: 매트릭스에서 중요도는 낮은데 비용이 높은 기능(과잉 기능) 또는 중요도는 높은데 비용이 지나치게 높은 기능을 개선 대상으로 선정함

 

2) FAST (Function Analysis System Technique) 다이어그램

- 개념: 기능 간의 논리적 관계(상하관계, 인과관계)를 도식화하여 기능 계통도를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임

- 방법

 ① 기본 기능 정의: 제품/서비스의 가장 핵심적인 기능을 정의함

 ② 기능 전개: "How"와 "Why" 질문을 반복하여 기능을 상위 기능과 하위 기능으로 전개함

   . How: 해당 기능을 어떻게 수행하는가? (하위 기능 도출)

   . Why: 해당 기능을 왜 수행하는가? (상위 기능 도출)

 ③ 기능 계통도 작성: 기능 간의 논리적 관계를 도식화한 FAST 다이어그램을 작성함

 ④ 기능 평가: FAST 다이어그램을 기반으로 각 기능의 중요도, 비용, 기술 수준 등을 평가함

 ⑤ 개선 대상 기능 선정: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대상 기능을 선정함 

 

3) VE 제안 공식 활용

- 개념: 기능의 가치(Value)는 기능(Function)을 비용(Cost)으로 나눈 값이라는 VE의 기본 공식을 활용하여 기능을 평가함, V  = F / C

- 방법

 ① 기능별 비용 및 중요도 평가: 기능 대비 비용 분석과 유사하게 각 기능별 비용과 중요도를 평가함

 ② VE 제안 공식 적용: 각 기능별로 V = F / C 공식을 적용하여 가치를 계산함

 ③ 개선 대상 기능 선정: 가치가 낮은 기능, 즉 중요도에 비해 비용이 과도하게 높은 기능을 개선 대상으로 선정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