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의 이덕일 소장의 책을 개인적으로 좋아한다. 올해 독서 목표 중에 하나가 그의 출간된 책 중에 아직 읽지 못한 책을 모두 읽어보는 것이다. 아직 역사 관련 책들을 많이 읽어보지는 못했지만, 국내 출간된 책 중에서 역사에 대해서 이렇게 흥미롭게 내용을 전개하는 책은 아마도 그의 책이 으뜸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그의 책들을 통해서 무지했던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해서 조금씩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이제는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역사를 알고자 한다.

시간은 단절되지 않듯이 [근대를 말하다]의 근대 또한 근대만을 놓고 설명한다면 이해가 잘 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을 한다. 조선이 일제의 지배를 받게된 이유는 무엇일까? 에 대해서 생각하다보면 책에서도 말하듯이 인조반정 이후, 노론 위주의 정치세력이 정권을 잡으면서 기득권 유지를 위해 유학을 고집하면서 신규문물과 개방에 대해서 철저하게 빗장을 걸어서이다. 그리고 거슬러 올라가다보면 여러 사건들이 이어져서 결국 근대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역사를 배우는 이유는 흔히, 과거에 잘못된 일에 대해서는 다시는 반복적인 실수를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말한다. 바로 역사는 반복되기에 좋은 일들은 선순환을 일으켜 자주 반복하게 만들고 잊고 싶은 과거는 그때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큰 관점에서 세계사, 국사가 될 것이고, 좁은 의미에서는 우리의 개인적인 삶에도 적용해 볼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이 된다.

이렇게 개인적인 삶에 적용을 하려면, 일단은 우리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야한다는 것이 우선시된다. 우리는 학교에 다닐때에도 국사를 배울 때, 다른 시대에 대해서는 자세히 배우지만 근대에 대해서는 큰 몇가지 사건에 대해서 간략하게 배우고 넘어간다. 동학농민운동, 아관파천, 갑오개혁, 임오군란 정도가 지금 생각나는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내용이다.

그리고 시중에 나와있는 많은 책들도 근대를 주제로 이야기를 전개하는 것들은 많지 않다. 그런 의미에서 [근대를 말하다]는 근대를 개괄할 수 있는 개론서로서도 아주 훌륭한 책이라고 생각된다. 역사적 주요 사건들을 중심으로 근대에 대해서 전개하는 것을 통해서 근대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주었다.

우리의 독립운동의 본거지인 간도가 지금은 중국의 땅이 된 것이 철도부설권을 매개로 일본이 중국에 넘긴것이라는 부분을 읽으면서 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고, 백두산 정계비에 나와있는 부분을 작위적으로 해석하면서 동북공정을 하는 중국의 모습에 대해서도 한 나라의 국민으로서 참을 수 없었다.

만주에 그렇게 많은 우리 민족들이 그 당시 살았다는 것에 대해서도 이번을 계기로 알게 되었고 지금도 그 당시 애국지사들의 후손들이 그곳에서 대를 이어서 살아간다는 것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다.

매국노 이완용에 대해서 읽는 내내 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고, 독립운동을 하면서 노선이 다르다는 이유로 사상이 다르다는 이유로 우리 민족끼리 서로 갈등하는 모습에서 안타까움을 감출 수가 없었다.

이 책을 읽기 전에 [이회영과 젊은 그들]을 읽으면서 그 당시 사회에 대해서 대강 이해는 하고 있었지만, 조금 더 상세하게 접근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