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sultant & Leader/□ etc.16 이슈와 개선안에 접근하는 법 [이슈에 접근하고 개선안을 도출하는 방법] ■ 이슈를 찾는 법 - 우선적으로 현상을 분석해야 한다. - 현상은 이슈가 될 수가 있고, 단순한 불평불만이 될 수도 있다. - 현상이 이슈가 되기 위해서는 근거가 필요하다. 근거자료는 객관적인 데이터가 필요한 법이다. ■ 개선안을 찾는 법 - 개선안은 결국 QCD(Quality, Cost, Delivery) 측면에서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연결되어야 한다. ■ 문제에 접근하는 방법 - 관통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 하나의 현상과 예외적인 케이스에 빠져서 중심 주제를 흐려서는 안된다. 2021. 12. 11. 학습 주제 선정 1. Operation Technology 2. MES와 ERP의 연계 3. ERP-SCM-MES 간의 생산계획 연계 4. 생산과 원가의 연계 부문 5. MRP 시스템 동작 원리 6. 기준정보 체계 7. 공장 Network 구성 원리 8. 시스템 조직 관리 2021. 12. 6. Mega Process 관점으로 생각하기 그 동안 한 분야에서만 장기간 일을 하다 보니 사고하는 방식이 너무나 지엽적인 부분에 매몰되어 있다. 새로운 분야로 길은 일단 들어섰으니 조금씩 내 생각을 바꾸어야 한다. 이제는 내 생각의 틀을 개조해야 하는 시기이다. 그것은 어쩌면 내 업에서의 생존의 길일지도 모른다. 어쩌면 내 생각이 잘못되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조금씩 생각하는 법을 배워야 겠다. 기업의 Master Plan을 구성할 때는 Mega Process 기준으로 기업 활동의 전체를 바라본다. 내가 어떤 기업에 대해서 생각하고 접근할 때도 항상 '개발, 구매, 제조, 마케팅, 물류, 판매, 서비스, 경영' 관점의 Mega Process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각각의 Process에 대한 대략적인 관점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일단 큰 전제로 담.. 2021. 12. 5. 커뮤니티 학습법/리더십 학습과 리더십, 최근 가장 많이 고민하는 분야이다. 학습에 대해서는 항상 어떤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봤고, 리더십은 그 동안 팀원으로 일하다가 적은 인원이지만 리더십이 필요한 상황에 직면해 있기 때문이다. 같은 주제에 대해서 학습을 하거나 업무를 하더라도, 사람들마다 접근하는 방식이 다르다. 어떤 이들은 혼자만의 깊은 고민과 집중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다른 이들은 사람들의 의견을 토대로 문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상황과 절차에 따라 앞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런 것은 이상적인 상황인거지 실제로는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최근 '[PUBLY]커뮤니티 리더십' 라는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그리고 최근 몇 년간의 내가 학습을 하고 일을 하는 방식을 생각해보면서 앞으로의 학습하.. 2020. 8. 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