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은 오늘날의 학문불류로는 나누기 곤란한 일종의 통합교과적 텍스트일 것이다. 따라서 이것을 읽으려면 말 그대로 통합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많은 이들이 고전읽기가 어렵다고 말한다. 그러나 달리 생각해보면 힘들더라도 고전을 열심히 읽으면 '통합적 지식인'이 될 수도 있다. 그런 까닭에 고전은 이러한 지식인을 훈련시키는 데에도 아주 좋은 교재라 하겠다. 그렇다면 어떤 방법을 통해 한 권의 고전 전체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겠는가, 이것이 고전읽기를 하는 독자의 기본적인 물음이다. 아래는 몇 가지 대답이다.


첫째, 저자와 그의 시대를 철저히 이해하기, 저자가 그 책을 쓰던 순간을 상상하기, 이로써 읽는 이는 텍스트의 저자와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자신도 저자의 마음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둘째, 전체를 통독하고 저자가 주장하는 것이 무엇인지 짐작해보기, 한 권의 책이 많은 주장을 담고 있을 수 있지만, 그래도 딱 집어서 이것 하나라고 할 만한 것은 반드시 있다. 책 한 권을 읽고 '이 책의 주장은 한마디로 이것' 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은 고도의 추상적 사유를 할 줄 안다는 증거이다. 자주 해보면 늘어난다.


이상 두 가지는 일종의 몸풀기에 해당할 것이다. 책을 읽기 전에 그 책에 익숙해지는 과정이다. 책은 살아 숨쉬는 생물이 아니기 때문에 그것을 읽으면서 일종의 대화를 하려면 이런 종류의 몸풀기가 많이 요구된다. 읽고자 하는 책과 정말 가까워지고 싶으면 읽든 읽지 않든 늘 책을 끼고 다니면서 자꾸 쓰다듬어 보고, 들춰 보고 하면서 표지의 질감, 활자 자체의 물질성에도 익숙해지는 노력을 할 필요도 있다.


셋째, 구조를 파악하기. 책 전체를 관통하는 일종의 질서를 상상해 보고, 그것이 실제로 구현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은 흥미 있는 일이다. 고전의 저자는 분명히 책을 쓰면서 구조를 세우고 작업했을 것이다. 그것을 알아내는 것은 자연과학자들이 무질서하고 혼란스러운 자연 현상 안에 숨어있는 질서를 찾아내고 아주 간단명료한 법칙으로 추상화하는 활동과 마찬가지의 것이다.


넷째, 독특한 표현과 비유들을 찾아내기. 어떠한 저자든지 손가락의 지문과 같은 고유한 표현 습관들을 가지고 있다. 그것을 찾아내는 것은 책읽기의 흥미를 더해주며, 동시에 자신의 글쓰기 훈련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고전의 저자가 자연과학의 언어들을 자주 사용한다면 그가 관심있는 지식의 영역 또는 그가 모범으로 삼고 있는 지식이 자연과학임을 짐작할 수도 있다.


이상 두 가지는 책을 본격적으로 읽어 나가면서 내용을 파악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구조가 뼈에 해당한다면 표현과 비유는 살에 해당한다. 이것들이 책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 치밀하게 읽다가 건성건성 읽다가 하는 과정을 되풀이 해보는 것도 책에 질리지 않는 방법이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책과 아주 친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소리내어 읽기. 어떤 책을 완전히 내것으로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 중의 하나는 소리내어 읽는 것이다. 다 읽을 수 없으니 자신이 맘에 드는 부분만 골라서 저자가 독자에게 읽어준다는 기분으로 한 번 낭독해보자. 이렇게 함으로써 책을 몸으로써 느끼게 된다. 자신이 쓴 글도 소리내어 읽어보면 말이 부드럽게 넘어가지 않는 부분을 발견하여 문장을 다듬을 때도 도움이 된다.


여섯째, 문장 다시 써보기, 고전의 문장들 중에는 멋진 것이 많다. 흉내내어 베껴보는 것도 좋고, 그와 똑같은 취지로 자신이 다시 써보는 것도 좋다. 이것은 아주 좋은 문장 훈련이다.


이상 두 가지는 한마디로 책을 내것으로 만드는 과정에 해당한다. 이 정도면 책을 즐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책에 대한 두려움도 사라지게 되어 다음 책을 읽을 수 있는 준비가 된다.


일곱째, 핵심만 추려내어 써보기. 자연과학자들이 법칙을 만들어내는 것은 자질구레한 것들을 버리고 핵심만 골라내는 행위이다. 고전을 한 권 읽고서 모든 내용을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 정리하는 것은 대단한 능력이 아니다. 오히려 자신이 파악한 핵심을 A4 한 장 정도로 쓸 줄 아는 것, 이것은 진정한 추상화 능력이다.


- 강유원, 『서구 정치사상 고전 읽기』 서문 中 -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