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과거의 원인에 영향을 받아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정한 목적을 향해 움직인다.”
《미움받을 용기》를 한 문장으로 가장 잘 표현한 문장인 듯 하다. 정통적인 심리학의 방법론으로 프로이트를 중심으로 한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우리의 행동을 설명하지 않고,새로운 방식인 ‘목적론’으로 접근한다.
아들러 심리학에서 제시하는 이론들은 현실을 살아가고, 앞으로의 좀 더 나은 삶을 희망하는 이에게 힘을 실어준다. 단순히 시장경제의 논리 속에서 기업의 하나의 부속품으로서 근면을 강조하는 자기개발서와는 분명 다르다고 생각된다.
아들러 심리학에서 제시하는 몇 가지 정의부터 알아본다
▶ 과제의 분리
이것은 누구의 과제인가? 라는 관점에서 자신의 과제와 타인의 과제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누구도 내 과제에 개입시키지 말고, 나도 타인의 과제에 개입하지 않는다
▶ 무늬만 인과관계
원래는 어떤 인과관계도 없는 것을 마치 중대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처럼 스스로에게 설명하고 납득하는 것
▶ 공동체 감각
타인을 친구로 여기고, 거기서 ‘내가 있을 곳은 여기’라고 느낄 수 있는 것이 공동체 감각이다. 여기서 소속감이란 태어나면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획득하는 것이다. 그리고 공동체의 범위는 우주와 무생물까지 확장된다.
▶ 자기긍정 vs 자기수용
자기긍정이란 하지도 못하면서 “나는 할 수 있다.”, “나는 강하다.” 라고 스스로 주문을 거는 것이다. 이는 자신에게 거짓말을 하는 삶의 방식으로 우월 콤플렉스에 빠질 수 있다.
자기수용이란 ‘하지 못하는 나’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할 수 있을 때까지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60점짜리 자신에게 “이번에는 운이 나빴던 것 뿐이야. 진정한 나는 100점짜리야.” 라는 말을 들려주는 것이 자기긍정이라면 60점짜리 자신을 그대로 60점으로 받아들이고 “100점에 가까워지려면 어떻게 해야 좋을까”라고 방법을 찾는 것이 자기수용이다.
▶ 타자신뢰
다른 사람을 믿을 때 조건을 일절 달지 않는 것이다. 비록 신용할 수 있을 만큼의 객관적 근거가 없더라도 믿는다. 담보가 있든 개의치 않고 무조건 믿는 것 그것이 신뢰이다.
지금 ‘누군가를 무조건 신뢰해봤자 배신당할 뿐이다’라고 생각하고 있지? 그런데 배신할지 안 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타인의 과제이다. 나는 그저 ‘내가 어떻게 할 것인가’만 생각하면 된다.
▶ 타자공헌
다른 사람에게 무언가를 해주는 것, 공헌하려는 것이다. 타자공헌이란 ‘나’를 버리고 누군가에게 최선을 다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나’의 가치를 실감하기 위한 행위이다.
내가 이해한 아들러 심리학은 ‘개인’을 위한 심리학이며, 책에서도 언급하고 있는 ‘용기’ ,’사용’의 심리학이다. 중심에는 개인이 있으며 개인의 자유의지가 중심이 된다. 사람들이 자신을 가로막고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도 결국은 개인들 스스로 선택한 것이고 그렇기에 자신이 역시 스스로 바꿀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 다음을 자신이 속한 사회, 즉 인간관계로 눈을 돌린다. 우리의 갈등을 모두 인간관계를 통해서 일어난다고 가정한 그는 사회와 조화롭게 살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위의 행동 목표 중 ‘사회와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것’에 대한 것으로 ‘공동체 감각’, ‘수평관계’, ‘존재에 대한 감사’ 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이 세 가지는 읽으면서 내가 앞으로 변화해야 하 는 방향이라고 생각했다. 어쩌면 나에게 아들러 심리학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아들러 심리학은 모든 ‘수직관계’를 반대하고 모든 인간관계를 ‘수평관계’를 만들자고 주장한다. 인간관계를 수직관계로 받아들이면, 상대를 자신보다 아래라고 보고 개입하게 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실제로 가장 실제 자신의 생활에 반영하는 것은 쉽지 않다. 부모자녀 관계, 직장 상사와의 관계, 선후배 관계 등에서 내 스스로 먼저 실천해야 하는 부분이다. 수평관계라는 것은 자신의 역할은 분명히 하되 ‘과제의 분리’를 통해서 타인의 과제를 침범하지 않는 것이다. ‘과제의 분리’를 쉽게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어쩌면 가장 필요한 부분이다.
‘존재에 대한 감사’는 경험으로 알게 된 부분이지만 쉽게 간과하는 부분이다. 어떤 것을 판단할 때 타인의 ‘행동’만을 강조해서는 안 되는 법이다. 주변을 잘 생각해보라. 있을 때는 모르지만 분명히 어느 날 갑자기 자리를 비우거나 없어진다면 크나큰 상실감을 느끼게 된다. 사물, 사람에 관계없이 우선 존재에 대한 감사라는 인식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렇게 공동체 감각, 수평관계 형성, 존재에 대한 감사, 타자공헌 등을 개인이 직접 실천하는 것이 가능한 사람이 얼마나 될까? 라고 물어본다
아들러의 대답이 진지하게 내 가슴 속을 울렸다.
“누군가가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다른 사람이 협력하지 않더라도 그것은 당신과는 관계없습니다. 내 조언은 이래요. 당신부터 시작하세요. 다른 사람이 협력하든 안 하든 상관하지 말고.”
나는 앞으로 내가 생각하는 것을 망설이지 않고 실천하고 시작할 것이다. 그와 동시에 사회와 조화를 이루는 삶에 대해서도 그 끈을 놓지 않을 것이다. 《미움받을 용기》 라는 책과 이를 통해 만난 아들러 심리학이 어쩌면 새로운 삶의 동력과 기저가 되길 바란다.
함께 읽어 보기
■ 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 - 기시미 이치로/살림
(자녀교육) http://zorbanoverman.tistory.com/491
(자아찾기) http://zorbanoverman.tistory.com/489
'■ 책과 영화 > □ 인문, 역사, 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만의 철학 (0) | 2015.02.26 |
---|---|
나와 너의 사회과학, 우석훈 (0) | 2015.02.11 |
나의 조선미술 순례 (1) | 2015.01.08 |
음식잡학사전 (2) | 2014.11.05 |
갑신년의 세 친구 (1) | 2014.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