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쉽다. 임금 문


역사에는 만약은 없다고 한다. 만약은 없지만 그래도 너무 아쉽다. 문종의 이른 죽음이...

우리는 흔히 문종하면 특별한 업적이 없고 병약한 조선의 임금으로 기억하기 쉽다. 사실 문종은 준비된 임금이었다. 세자 시절부터 이미 성군으로서의 충분한 자질을 길렀으며 세종 대 후반에는 실질적으로 임금의 역할을 대신하면서 여러 치적들을 쌓아올렸다. 


안타깝게도 세종과 소헌왕후의 잇따른  국상으로 세자는 몸이 쇠약해졌다. 하지만 39살의 나이에 돌연 병사할 정도는 아니었다. 문종의 급작스러운 죽음에는 의문이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당시 어의였던 '전순의'의 처방은 납득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으며, 처방에 대한 의견은 당시 대신이었던 김종서 등과 의논하지 않고 수양대군과 의논하였다.

과연, 문종은 병에 의한 병사였는가? 아니면 동생 수양에 의한 타살인가? 의문이 남는다.


결국, 39살의 이른 죽음은 그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문종의 뒤를 이은 단종은 당시 12살이었다. 단종은 그저 어리고 힘없는 왕이었다. 그에게는 수렴청정을 할 대비조차 없었다. 그리고 권력의 야심을 가지고 있는 수양이 있었다. 믿을 수 있는 건 김종서 뿐이었다. 하지만, 김종서 또한 난을 막지는 못한다.


p178

세종이 사망하기 전 7년 간은 사실상 세자 향이 임금 역할을 대행한 셈이었다. 세종 대 후반의 여러 치적들, 즉 세종 26년의 전분6등, 연분 9등의 전세법 제정이나 27년의 <용비어천가>완성, 28년의 훈민정음 반포 등의 치적은 사실상 세종과 문종의 공동 작품이다. 세자는 신병이 있는 세종을 대신하여 건원릉에 행차해 별제를 거행하는 등 사실상 국왕으로서 임무를 수행했다.



역사의 후퇴, 계유정난


조선의 2대왕인 태종과 계유정난의 주역인 수양대군은 많은 면에서 유사하지만 다르다

둘은 모두 적장자가 아니었습니다. 권력에 대한 야심은 있었지만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왕권에는 오를 수 없는 인물들이었습니다. 태종이 1차, 2차 왕자의 난을 통해서 형제들을 숙청하고 당시 조정의 주역인 정도전마저 제거한다. 수양 역시 왕위에 오르면서 동복형제인 안평대군과 금성대군을 죽인다. 예나 지금이나 권력에 대한 욕심은 부모도, 형제도, 자식조차 없나 보다.


태종은 즉위하고 나서 철저하게 왕권강화에 나서고 당시 주요세력이었던 공신들과 외척들을 철저하게 배쳑한다. 이는 개국 초기의 기반을 다졌고, 공신들의 나라에서 훗날 세종의 부흥기를 위한 초석을 마련합니다. 이렇게 다져놓은 기반은 불과 얼마만에 세조에 의해 공신들의 나라로 변모한다.


당시 상황을 보면 1만 명이 넘는 공신과 그 가족들이 탄생하게 됩니다. 심지어 공신들은 살인을 저질렀어도 사면되어지는 특권이 주어집니다. 관직은 공신과 관련된 자가 아니면 아무리 실력이 좋아도 쉽지 않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놀랐던 것은 정난으로 옛 동료들의 부인과, 딸, 심지어 어머니까지 공신들이 차지했다는 것이 충격적이었다.


P315

한명회는 이들 역사, 즉 무뢰배들과 함께 문을 지켜 섰다. <종각잡기>에는 이때 한명회가 <생살부>를 들고 있었다고 전한다. <살생부>라고도 불리는데 <살조>에 이름이 올랐으면 죽고, <생조>에 이름이 올랐으면 살아서 이 문을 통과하는 것이었다. 대신들의 목숨이 일개 궁지기에 달려 있는 상황이 되었다.


P321

수양 측은 이날 밤의 쿠데타를 단종1년(1453) 계유년에 발생했다는 이유로 계유정난이라고 불렀다. '정난'은 국가의 위태로운 난리를 평정했다는 뜻이다. 어차피 이긴 자가 붙이는 이름이었다.


p362

옛 동료들의 부인과 딸, 심지어 어머니까지 차지한 공신들의 행위에 사회는 큰 충격을 받았다. 이는 조선의 건국이념인 유학을 정면에서 부인한 행위였다. 성인을 추구하는 유학을 거론할 것도 없었다. 최소한의 인간적 양식만 있어도 할 수 없는 행위였다. 체제를 거부하는 유학자들이 늘어갔다. 그러나 공신들은 이미 넘어서는 안될 선을 넘어버린 것이었다. 조선 중기 윤근수는 <월정만필?에서 "신숙주가 노산군(단종)의 왕비 송씨를 받으려 했다"고까지 적고 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한때 국모로 모셨던 여인을 달라고 요청했다는 뜻이 된다.



사육신과 생육신


계유정난은 명분이 없는 왕위찬탈이다. 수양대군이 왕권을 차지하면서도 끊임없이 단종의 복권운동이 일어나는 것을 보면 명분이 없음을 확실히 알 수 있다. 당대의 지식인들은 스스로 목숨을 끊고 관직에 나서지 않는다. 역사와 관련된 드라마나 책을 읽다보면 항상 나오는 부분이 바로 명분쌓기다. 어떤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꾸며서라도 명분을 만들어야 하는게 정치다. 세조가 수양대군이 왕권을 차지하고 나서 집권하는 과정이 모순될지라도 올바른 정치를 해나갔다면 아마도 사육신과 생육신이 이렇게 까지 알려지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아쉬움에 더욱 사육신과 생육신을 기억하려고 애쓰는지 모른다.


사육신의 닩종 복위 운동 당시 모반 혐의로 처형되거나 목숨을 끊은 사람은 70여명에 이른다. 이들 가운데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성원, 유응부 6명을 특별히 '사육신'이라고 기리게 된 것은 이른바 '생육신'  가운데 한 명으로 여겨지는 남효온이 <추강집>에 수록된 '육신전'에서 이들 여섯의 행적을 소상히 적어 후세에 남긴 데에서 비롯되었다. 이후 사육신은 충절을 상징하는 인물로 숭배되었고, 사대부들은 그들의 신원을 조정에 요구하였다. 그 결과 성종 때에는 그들의 후손도 관직에 오를 수 있도록 금고된 것을 풀어주었으며, 숙종 때인 1691년에는 사육신 6명의 관작을 회복시키고 민절서원을 지어 이들의 위패를 안치하였다.


생육신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죽은 사육신에 대비하여 목숨을 잃지 않고 살았지만 평생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초야에 묻혀 살았던 사람들로, 김시습, 원호, 이맹전, 조려, 성담수, 남효온 이다. 사육신이 절개로 생명을 바친 데 대하여 이들은 살아 있으면서 귀머거리나 소경인 체, 또는 방성통곡하거나 두문불출하며, 단종을 추모하였다.

                                                                                                     - 두산 백과 -



동강은 단종을 기억하며 잔잔히 흐른다.



▲ 단종의 유배지 영월


어린 단종에 대해서는 그저 안타까울 따름이다. 단종은 왕위계승을 둘러싼 권력투쟁속에서 고작 12살의 나이로 등극하였다. 12살이다. 지금 생각해도 너무 어린 나이다. 심지어 그에게는 수렴첨정해 줄 대비조차 없었다. 피붙이라 할 수 있는 숙부들은 권력투쟁의 한 가운데 서있었고,  백종조인 양녕대군과 효령대군 역시 단종 곁에는 없었다.


어쩌면 왕으로 태어난 것을 후회했을지도 모른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운명을 맞이했다. 
단종의 죽음을 기억할지 모르는 동강은 오늘도 천천히 흐른다. 동강에는 아프고 잔잔한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흐른다.


p370

신숙주는 "이유(금성대군)가 또 노산군을 끼고 난역을 일으키려 하였으니, 노산군도 편히 살게 할 수 없습니다." 라고 단종의 사형을 선창했다. 정인지도 "노산군은 반역을 주도했으니 편안히 살게 할 수 없습니다." 라고 가세했다. 임금으로 섬겼던 인물을 죽이라고 주창하는 것이었다. 여기에 양녕, 효령대군이 가세했다. 세종가의 골육상쟁을 즐기던 두 대군은 "속히 법대로 처치하소서"라고 단종의 사형 주청에 가담했다. 세조3년(1457) 10월 21일 단종은 결국 천명을 보존하지 못한 채 불귀의 객이 되고 말았다. 나이 열일곱, 재위에 있은지 3년 2개월 만이었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