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건축법에 규정된 건축의 정의는 "건축이란 건축물을 신축, 증축, 개축, 재축하거나 건축물을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이다.
그러나 건축을 건설과 분리시켜 국토교통부 같은 곳이 아니라, 문화부 산하 문화유산부에 소속하게 한 프랑스는 1977년에 제정한 건축법에서 이렇게 건축을 정의한다. "건축은 문화의표현이다. 건축적 창조성, 건축의 품격, 주변 환경과의 조화, 자연적/도시적 경관 및 문화 유산의 존중 등의 공공적 관심사다."
건축에 대한 정의부터 다르다. 우리나라는 건축을 부동산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프랑스는 문화유산으로 여기며 법을 제정한 것이다.
이렇게 다른 시작은 결국 다른 건축물, 다른 도시공간으로 나타나게 된다. 과연 어느 나라의 도시 공간에서 살고 싶을까?
우리가 흔히 쓰는 '우리가 책을 만들지만, 다시 그 책이 우리를 만든다.' 라는 말이 있다. 사실 이 말은 윈스턴 처칠이 1943년 10월 폭격으로 폐허가 된 영국의회 의사당을 다시 짓겠다며, '우리가 건축을 만들지만, 다시 그 건축이 우리를 만든다.' 라고 연설한 부분을
타임스(The Times)가 인용한 말이다. 바라보는 시선부터 다르다. 우리에게도 건축물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이 필요하지 않을까?
건축가 승효상의 『보이지 않는 건축, 움직이는 도시』는 이런 건축과 우리가 사는 공간 그리고 도시에 대해서 인간 중심으로 풀어낸 한 편의 인문서적이다. 그의 첫 책이자 그의 건축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빈자의 미학』을 그는 가난한 이가 아니라 가난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건축 방법론이라 했다. 그런 그의 생각이 고스란히 이어지는 책으로, 건축과 도시를 진지하게 바라보며 성찰하고 있다.
▲ 건축가 승효상
『보이지 않는 건축, 움직이는 도시』을 읽으면서 특히 눈에 들었던 부분이 있다. 바로 프랑스 국립 도서관 건립에 관한 내용이다.
1989년, 그랑프로제(Grand Project)의 하나인 프랑스 국립 도서관 현상 공모에서 심사위원단이 두 개의 안을 뽑은 후 최종 결정을 미테랑 대통령(1916~1996)에게 미루는 일이 생겼다. 당시 심사위원단에는 퐁피두 센터를 설계한 렌초 피아노(1937~)도 포함되어 있는 역량있는 심사단이었지만, 대통령의 식견을 신뢰하고 그에게 위임한 것이다. 그리고 미테랑 대통령은 당시 43살이었던 도미니크 페로(1953~)의 설계안을 선정한다. 도미니크 페로는 이화여자대학교의 ECC 설계자이기도 하다.
▲ 프랑스 국립 도서관 전경(미테랑 도서관)
▲ 프랑스 국립 도서관 외관
▲ 프랑스 국립 도서관 내부
당시 해당 설계안 선정에 대한 미테랑 대통령의 평론을 소개한다.
"그의 디자인은 대칭 속에서 명료하며 선들은 절제되고 그 속의 공간들은 참으로 기능적입니다. 마치 침묵과 평화의 요구인 것처럼, 이 건축은 지면 속으로 파고 들었으며, 네 개의 타워는 이 도시의 심장부인 광장을 만들었습니다. 땅과 하늘에 생겨난 이 도서관의 산책로는 모두에게 열려 있어, 현대도시의 새로운 거처인 이 넒은 공공의 공간에서 우리는 만나고 섞이게 됩니다. 페로의 이 작업은 일개 건축이 아니라 미래를 예시하는 하나의 도시 계획입니다. 바로 그가 인류가 갈망하는 지식과 아름다움을 위한 위대한 성취를 이룩한 것입니다."
프랑스는 이 도서관을 미테랑 도서관이라고 이름 지으며, 그를 영구히 기리기로 한다. 그가 대통령 직을 마친 후, 예전에 저지른 불륜으로 인한 혼외자식 문제가 드러나자, 그 사건이 불륜이 아니라 아름다운 사랑의 이야기로 회자될 정도로 프랑스는 그를 보호하고 사랑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가 1996년 병환으로 세상을 떠나자 전 세계에서 연민의 정을 보내왔으며, 정적인 시라크 마저 그를 추모했다고 한다.
그들은 이 도서관 건축을 단순히 도서관 하나를 짓는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하나의 건축물이 공공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삶에 관점에서 건축으로 이어진 것이다.
미테랑 대통령이 세상을 떠난 다음 해인 1997년 부터는 프랑스의 새로운 천년을 준비하기 위해 '2000년 포럼'을 운영한다.
오랜 기간의 논의 끝에 프랑스는 2000년이 시작되기 전에 21세기 맞이 행사계획을 다음과 같이 발표한다.
"200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모든 지식의 대학'이라는 주제로 우리가 어떻게 사는 것이 좋은 지 매일 토론한다. 과학기술을 주제로 200여회, 인문과학으로 100여회, 21세기의 장점에 대한 내용으로 60여회를 구성하는 이 토론회는 미테랑 도서관과 퐁피두 센터, 과학의 집에서 개최되며 매일 TV로 생중계하고 기록하여 모든 일정을 마치면 책으로 발간하여 보존할 것이다."
이 글을 읽고 약간의 충격을 받았다. 이게 바로 '격(格)' 이구나! 초고층의 높은 빌딩과 경제성장률의 수치 등은 국가의 격을 만들 수 없구나. 결국 격(格) 은 사람들을 통해서, 그들의 진지한 성찰과 끊임없는 토론을 통해서 만들어진다. 이제 우리는 이와 같은 격(格)을 향해야 하지 않을까.
이와 함께 예전에 EBS 지시채널e 에서 소개한 프랑스의 대학입학시험인 '바칼로니아'도 대단히 인상적이다.
1808년 부터 지속되어온 이 시험의 목적은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건강한 시민을 길러내는 것'이라고 한다.
바칼로니아는 모두 주관식이고 특히 철학 문제는 세개의 질문 중 하나를 골라 4시간 동안 자기의 생각을 글로 적어야 한다.
중국의 천안문 사태가 있었던 1989년의 문제는 "폭력은 어떤 상황에서도 정당화될 수 없는가?"
이민자 폭동이 사회적 문제가 되었던 2006년은 "특정한 문화의 가치를 보편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가?"
정치인의 탈세와 온갖 비리로 얼룩졌던 2013년에는
이것이 격(格) 이다.
건축가 승효상은 건축과 도시를 바라보는 시선으로 세상에 접근한다. 그리고 사람들은 저마다 그들의 자리에서 서로 다른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볼 것이다. 하지만 모두들 매체와 매개가 다를 뿐이지, 결국 바라보는 세상은 같다. 결국, 그들이 원하는 것으로 올바른 세상에서, 상식이 통하는 사회에서, 사람들과 더불어 사는 것이 아닐까?
만약 바칼로레아가 우리나라에 있다면,
과연 2016년 지금은 어떤 문제가 등장할까?
그 질문에 대해 각자 생각할 시간이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답해야 할 때이다.
'■ 책과 영화 > □ 인문, 역사, 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대를 훔친 미술』, 이진숙 (0) | 2017.01.12 |
---|---|
『팔레스타인』, 존 사코 (0) | 2016.12.11 |
내가 사는 공간, 도시를 걷는 법 (0) | 2016.08.25 |
『다시, 책은 도끼다』, 박웅현 (3) | 2016.06.19 |
품위있는 삶을 살기로 했다. - 『공부할 권리』, 정여울 (0) | 2016.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