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mart Factory/□ 공장관리기술사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설비종합효율, 6대 로스

by Broaden 2025. 4. 21.

공장관리기술사 - 토픽 모음

더보기

(109회-3교시-5번, 133회-2교시-6번)

 

. 설비종합효율은 시간가동률, 성능가동률, 양품율의 곱으로 산출한다. 이 3가지 지표를 활용하여 산출하는 과정을 설비 6대 로스(loss)와 연계하여 설명하시오.

. 설비의 6대 손실(Loss)을 설명하고, 설비종합효율 산출을 6대 손실과 연계하여 설명하시오.

설비종합효율(OEE, 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s)은 시간가동률, 성능가동률, 양품률 세 가지 지표의 곱으로 산출됨. 각 지표는 설비 6대 로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를 통해 설비의 효율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음

 

1. 시간 가동률

- 정의: 계획된 생산 시간 중 실제로 설비가 가동된 시간의 비율

- 계산: (실제 가동 시간 / 계획 가동 시간) x 100%

- 관련 로스: 시간 가동률에 영향을 미치는 로스는 다음과 같음

 ① 고장 손실 (Breakdown Loss): 설비의 갑작스러운 고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간 손실임. 돌발적인 고장, 기능 저하로 인한 정지 등이 포함됨

 ② 작업 준비 및 조정 손실 (Setup and Adjustment Loss): 생산 품목 변경에 따른 금형 교체, 치공구 교환, 자재 준비, 작업 조건 조정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간 손실임

 

2. 성능 가동률

- 정의: 설비가 가동되는 시간 동안 이론적인 최대 속도로 생산했을 때의 생산량 대비 실제 생산량의 비율

- 계산: (실제 생산량 / 이론 생산량) x 100%

- 관련 로스: 성능 가동률에 영향을 미치는 로스는 다음과 같음

 ① 공회전 및 순간 전지 손실 (Idling and Minor Stoppage Loss): 설비가 일시적으로 정지하거나 공회전 상태에 있는 시간 손실임. 센서 작동 오류, 부품 걸림, 일시적인 정전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음

 ② 속도 저하 손실 (Speed Loss): 설비가 설계된 속도보다 느리게 가동되어 발생하는 손실임. 기계 마모, 윤활 불량, 작업자 미숙련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음

 

3. 양품률

- 정의: 총 생산량 중 양품의 비율

- 계산: (양품 수량 / 총 생산 수량) x 100%

- 관련 로스: 양품률에 영향을 미치는 로스는 다음과 같음

 ① 불량 및 재작업 손실 (Defect and Rework Loss): 불량품 생산 또는 재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임. 불량품 폐기, 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자재, 인력 등이 포함됨

 ② 초기 수율 저하 손실 (Yield Loss): 생산 초기 단계에서 발생하는 수율 저하로 인한 손실임. 설비 조정, 작업 조건 설정, 작업자 훈련 등이 불안정하여 발생할 수 있음

 

설비종합효율은 OEE = 시간 가동률 x 성능 가동률 x 양품률

예를 들어, 시간 가동률(80%), 성능 가동률(90%), 양품률(95%) = 0.8 x 0.9 x 0.95 = 0.684 = 68.4% 

 

설비종합효율은 설비의 생산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이며, 6대 로스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 설비종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각 로스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야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