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회-1교시-2번)
MRP 시스템의 입력요소와 출력요소를 쓰고, MRPⅡ, ERP 시스템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1. MRP(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자재 소요 계획) 시스템
- 개념: 생산 계획에 따라 필요한 자재의 수량과 시기를 계산하는 시스템임. 즉, 완제품 생산 계획을 기반으로 원자재, 부품, 중간 조립품 등의 소요량과 조달 시기를 역산하여 적시에 필요한 자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는 것임
- 입력요소
① 주 생산계획(Master Production Schedule): 완제품에 대한 생산 계획으로, 제품별 생산 수량과 납기를 포함함
② 자재 명세서(Bill of Materials): 완제품을 구성하는 모든 자재(원자재, 부품, 중간 조립품)에 대한 정보를 나타냄. 각 자재의 수량, 종류, 규격 등이 포함됨
③ 재고 기록: 각 자재의 현재 재고 수준, 입고 예정량, 출고 예정량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
- 출력요소
① 계획 오더: 각 자재의 주문 또는 생산 시기와 수량을 나타냄
② 주문 제안: 계획 오더를 실행하기 위한 구매 주문서 또는 작업 지시서임
③ 변경 제안: 기존 계획 오더의 변경 사항을 알려줌
④ 성과 보고서: 재고 수준, 납기 준수율, 주문 현황 등 MRP 시스템의 성과를 나타내는 보고서
2. MRPⅡ(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제조 자원 계획) 시스템과의 차이
- MRPⅡ는 MRP를 포함하여 생산, 판매, 재고, 인력, 설비 등 제조 활동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임. MRP가 자재 계획에 초점을 맞춘다면, MRPⅡ는 전반적인 제조 활동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임
- MRPⅡ는 MRP 기능 外 생산 능력 계획(CRP), 판매 및 운영 계획(S&OP), 원가 관리, 품질 관리, 재무 관리
기능을 포함함
3.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과의 차이
- ERP는 MRPⅡ를 포함하여 회계, 인사, 영업, 마케팅 등 기업의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임. ERP는 기업 전체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업무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경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 ERP는 MRPⅡ기능 外 회계 관리, 인사 관리, 영업 관리, 마케팅 관리, 고객 관계 관리, 공급망 관리 기능을 포함함
'■ Smart Factory > □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총괄생산계획-총괄, 분해 (0) | 2025.04.20 |
---|---|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카노 모델 - 품질 특성 (0) | 2025.04.19 |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Z이론 (0) | 2025.04.19 |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TPS 간판(Kanban) (0) | 2025.04.19 |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TPM-TBM, CBM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