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회-3교시-4번)
생산능력과 관련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능력척도 및 유효성 평가, 최적조업도, 규모의 경제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2) 생산능력의 결정전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능력척도, 유효성 평가, 최적조업도, 규모의 경제
1) 능력척도
- 생산능력을 측정하는 척도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함
① 설계 능력(Design Capacity): 이상적인 조건에서 생산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산출량임. 설비의 이론적인 최대 생산량을 의미하며, 현실적으로 달성하기 어려움
② 유효 능력(Effective Capacity): 현실적인 조건을 고려했을 때 생산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산출량임. 설비 고장, 유지보수, 작업자 휴식 등을 고려하여 설계 능력보다 낮게 설정됨
③ 실제 능력(Actual Capacity): 현재 생산 자원의 여건으로 실제로 달성한 산출량임. 품질, 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유효 능력보다 낮거나 같을 수 있음
2) 유효성 평가
- 생산능력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지표는 다음과 같음
① 이용률(Utilization): 설계 능력 대비 실제 산출량의 비율임. 이용률 = (실제 산출량/설계 능력) x 100%
② 효율(Efficiency): 유효 능력 대비 실제 산출량의 비율임. 효율 = (실제 산출량/유효 능력) x 100%
- 일반적으로 설계 능력 > 유효 능력, 효율 > 이용률 관계가 성립함
3) 최적 조업도
- 최적 조업도는 생산 비용이 최소화되는 생산량 수준을 의미함. 단위 생산 비용은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다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이는 규모의 경제와 규모의 비경제 효과 때문임
4) 규모의 경제
- 규모의 경제는 생산량 증가에 따라 단위당 평균 생산 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함. 생산량 증가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져옴
① 고정비 분산: 생산량 증가는 고정비를 더 많은 생산량에 분산시켜 단위당 고정비를 감소시킴
② 대량 구매: 원자재를 대량으로 구매하여 단가를 낮출 수 있음
③ 전문화: 작업 분업 및 전문화를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
④ 학습 효과: 반복적인 작업을 통해 작업 속도가 빨라지고, 불량률이 감소함
2. 생산능력의 결정 전략
- 생산능력 결정 전략은 기업이 미래 수요 대응을 위해 생산능력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지 결정하는 전략임
1) 선행 전략 (Leading Strategy)
- 수요 증가에 앞서 생산능력을 미리 확장하는 전략임
- 장점: 수요 증가에 빠르게 대응하여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고객 서비스 수준을 높일 수 있음
- 단점: 수요 예측이 틀릴 경우 유휴 설비 발생, 투자 비용 증가 등의 위험이 있음
2) 후행 전략 (Lagging Strategy)
- 수요 증가 후 생산능력을 확장하는 전략임
- 장점: 초기 투자 비용을 최소화하고, 유휴 설비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음
- 단점: 수요 증가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워 기회 손실, 고객 불만족 등이 발생할 수 있음
3) 적응 전략 (Matching Strategy)
- 수요 변화에 따라 생산능력을 점진적으로 확장하는 전략임
- 장점: 선행 전략과 후행 전략의 장점을 결합하여 위험을 줄이고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음
- 단점: 수요 변화 예측 및 능력 조정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의사 결정이 필요함
4) 조정 전략 (Adjustment Strategy)
- 재고, 아웃소싱, 생산 속도 조절 등을 통해 수요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임
- 장점: 설비 투자 없이 단기적인 수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음
- 단점: 장기적인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고, 재고 비용 증가, 품질 관리 어려움 등이 발생할 수 있음
3. 생산능력 결정 시 고려 사항
- 수요 예측: 미래 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중요함
- 비용: 설비 투자 비용, 운영 비용, 유지보수 비용 등을 고려해야 함
- 기술: 기술 변화, 자동화 도입 가능성 등을 고려해야 함
- 경쟁: 경쟁 업체의 생산능력, 시장 점유율 등을 고려해야 함
- 유연성: 미래 수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생산 시스템 구축이 중요함
'■ Smart Factory > □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가동률, 설비종합효율 (0) | 2025.04.19 |
---|---|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Variety Reductioin Program (0) | 2025.04.19 |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Push-Pull 공급사슬 전략 (0) | 2025.04.19 |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제조공장 입지요인 (1) | 2025.04.19 |
[공장관리기술사 기출] 워크샘플링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