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Consultant & Leader/□ Psychology14

장기기억 인코딩 이론 - 정보가 영원히 기억되는 방법 우리가 보고 듣고 경험하는 수많은 정보들 중 어떤 것은 금세 잊히고, 어떤 것은 시간이 지나도 선명하게 기억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걸까요? 오늘은 정보가 우리 뇌의 '영구 저장소'인 장기기억(Long-Term Memory)으로 어떻게 들어가는지, 그 비밀을 밝혀줄 장기기억 인코딩 이론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장기기억 인코딩이란?인코딩(Encoding)이란 쉽게 말해, 우리가 감각기관을 통해 받아들인 정보(시각, 청각 등)를 뇌가 저장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고 부호화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마치 컴퓨터가 텍스트나 이미지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듯이, 우리 뇌도 외부 정보를 신경 신호와 연결 패턴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하는 거죠 특히 장기기억 인코딩은 이 변환된 정보가.. 2025. 6. 14.
정보 처리의 허브, 작업기억 - 배들리&히치 모형 정보 처리의 허브, 작업기억 - 배들리&히치 모형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전화전번호를잠시 기억하거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정보를 동시에 다루는 경험,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이 모든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작업기억(Working Memory)' 입니다. 오늘은 인지 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작업기억 모형 중 하나인 '앨런 배들리(Alan Baddeley)'와 '그레이엄 히치(Graham Hitch)'의 작업기억 모형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단기기억 vs 작업기억 - 무엇이 다를까?작업기억 모형을 이해하기 전에, 먼저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STM)'과 '작업기억'의 차이를 짚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기 심리학에서는 단기기억을.. 2025. 6. 14.
이중 부호화 이론 - 왜 그림이 글보다 기억에 잘 남을까 오늘은 학습과 기억의 비밀을 파헤치는 흥미로운 심리학 이론, 바로 '이중 부호화 이론(Dual Coding Theory)'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이중 부호화 이론은 캐나다 심리학자 앨런 파이비오(Allan Paivio)가 1970년대에 제안한 이론으로, 우리가 정보를 두 가지 방식으로 처리하고 저장한다는 핵심 아이디어를 담고 있습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중(Dual)'이라는 말은 두 가지의 다른 '부호화(Coding)'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중 부호화 이론의 핵심 아이디어파이비오에 따르면, 우리 뇌에는 정보를 처리하는 두 가지 독립적인 시스템이 존재합니다.언어적 시스템 (Verbal System)- 이 시스템은 언어적인 정보, 즉 글자, 단어, 문장 등을 처리하고 저장합니다.- 우.. 2025. 6. 13.
[심리학] 아들러 심리학 - 열등감 부터 사회적 관심까지 나답게 살아가는 용기: 아들러 심리학이 전하는 메시지우리는 살면서 수많은 고민과 마주합니다. "난 왜 이럴까?", "다른 사람들은 왜 나를 이해하지 못할까?", "내 삶의 방향은 어디로 가야 할까?" 이런 질문들 앞에서 떄로는 좌절하기도 합니다. 오늘 이야기할 아들러 심리학은 바로 이 질문들에 대한 따뜻하면서도 명쾌한 답을 제시해줍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 칼 융과 함께 심리학의 거장으로 불리는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는 인간을 '사회적 존재'이자 '목표 지향적 존재'로 바라봤습니다. 그의 심리학은 우리가 삶의 어려움에 어떻게 대처하고, 타인과 어떻께 관계 맺으며, 결국에는 어떻게 행복을 찾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놀라운 통찰을 제공합니다. 나답게 살아가는 용기: 아들러 심리학이 전하는.. 2025. 5. 28.
[심리학] 진화 심리학 - 내 안의 원시인과의 만남 인간은 왜 아름다운 것을 좋아할까요? 왜 특정 유형의 배우자에게 끌릴까요? 왜 위험을 감수하거나, 혹은 극도로 조심하는 걸까요?이러한 행동과 심리적 특성들이 단순히 '개인의 선택'이라고만 생각하셨다면, 오늘 소개해 드릴 '진화 심리학(Revolutionary Psychology)'은 당신의 사고방식을 뒤흔들지도 모릅니다.진화 심리학은 이름 그대로 진화론적 관점에서 인간의 심리와 행동을 이해하려는 학문입니다. 수십만 년 전 수렵-채집 생활을 하던 우리 조상들이 생존하고 번식하는 데 도움이 되었던 심리적 기제들이, 현대인의 뇌와 행동에도 여전히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는 것이죠.진화 심리학, 도대체 뭘 연구하는데?진화 심리학은 인간의 심리적 특성들이 마치 신체 기관처럼 '적응(adaptation)'의 .. 2025. 5. 28.
[심리학] 자기 지각 이론 - 행동이 감정을 만든다 행동이 감정을 만든다. 의외의 행복을 알려주는 '자기 지각 이론'"내가 이걸 왜 하고 있지?", "이 행동이 내가 원하는 걸까?"살면서 이런 의문을 가져본 적이 있으신가요? 우리는 흔히 생각이나 감정이 먼저 있고, 그에 따라 행동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심리학자 '대릴 벰'은 전혀 다른 관점을 제시했습니다. 바로 '자기 지각 이론(Self-Perception Theory)'입니다. 이 이론은 우리가 자신의 태도나 감정을 알기 어려울 때,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여 추론한다는 흥미로운 주장입니다. 마치 다른 사람의 행동을 보고 그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을 짐작하듯이, 우리 스스로도 자신의 행동을 보고 '아, 내가 이런 사람이었구나!' 또는 '이런 감정을 느끼고 있었구나!'라고 깨닫는 거죠.자기 지각 이론, .. 2025. 5.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