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텐베르크, 포트, 잡스, 셰익스피어

위대한 혁신가는 모방에서 나왔다.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는 목판인쇄 기술과 금속세공 기술, 와인프레스 기술을 적절하게 섞어서 금속활자를 만들었고 위대한 혁신을 이뤄냈다. 헨리 포드의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은 사실 시카고의 도축장 시스템을 모방한 것이다. 다만 도축장에서는 작업자들이 손으로 소를 밀었지만 포드의 공장에서는 동력기를 달아 자동으로 컨베이어벨트가 움직이게 했을 뿐이다. 스티브 잡스는 일본의 밥솥 제품에서 아이디어를 가져와 애플 노트북의 전원 어댑터인 맥세이프를 만들었다.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도 아서 브룩이 1562년에 쓴 '로메우스와 줄리에트의 비극적 역사'라는 3020행의 짧은 서사시를 각색하고 살을 입혀 불후의 명작으로 만든 것이다. 혁신은 모방에서 출발한다. 다만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자신이 새롭게 해석한 것을 반영시켜야 한다. 구텐베르크도 이미 개발된 기술들의 원리를 새로운 맥락에서 잘 조합하고 해석해서 인쇄 효윻을 대폭 향상 시킨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이제부터 우리는 세상에 없는 아이디어를 창조하려고 머리를 짜낼 필요가 없다.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것, 우리가 조금만 노력하면 알 수 있는 것에 창조적 아이디어의 원천이 숨어있다. 창조형 모방의 원리를 이해하면 혁신은 한결 친근하게 우리 곁에 다가온다. 따라서 모방과 창조를 대립하는 개념으로 보는 시각은 잘못이다. 창조는 모방에서 출발한다. 모방없이 창조는 불가능하다. 이미 누군가가가 만들어놓은 지식이 없다면 우리는 아무것도 창조할 수 없다. 그러니 모방과 창조는 사실상 같은 활동이다.


우리나라에서 고려시대 때 직지심체요절을 만들기 위해 이미 쿠텐베르크보다 먼저 금속활자 기술이 개발됐다. 그런데 왜 우리는 역사를 바?꾸지 못했는데 쿠텐베르그의 금속활자는 역사를 바꿨다고 평가받을 수 있었을까? 그 이유는 와인 프레스의 모방 덕분이라고 봐야 한다. 인쇄의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켰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활용한 금속활자는 활자 위에 먹물을 묻히고 종이를 댄 다음 솜방망이로 탁탁 두드려 찍어내는 형태였기 때문에 단기간에 대량생산을 하기에는 매우 어려웠다. 하지만 쿠텐베르크의 금속활자 기술은 와인 프레스의 모방을 통해 유성잉크를 ㅜ이에서 아래로 압착해 훨씬 빠르게 인쇄물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와인 프레스가 압착하는 대상이 포도가 아니라 종이와 잉크로 바뀌었던게 역사를 바꾼 원동력이 된 셈이다.


쿠텐베르크는 과거에 없던 전혀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한 사람이 아니다. 이미 개발된 기술들의 '원리'를 '새로운 맥락'에서 잘 조합하고 모방해 인쇄 효율을 대폭 향상시킨 기술을 개발해 냈다. 그는 새로운 창의적 기술을 개발했다기보다 목판 인쇄와 금속 세공 기술, 와인 프레스 기술을 적절히 조합해 인쇄라는 새로운 맥락에서 조합하면서 위대한 혁신을 이뤄냈다고 볼 수 있다.


포드의 조력자였던 윌리엄 클랜은 시카고의 도축장에서 생산 효율성을 극도로 향상시킨 컨베이어 시스템에 주목했다. 그는 이 기술을 자동차 생산 과정에 도입하면 마찬가지로 놀라운 생산성 향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리고 이를 전해들은 포드는 6개월 후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도입한 공장을 가동했다. 달라진 점이 있다면 도축장에서는 작업자들이 손으로 소를 밀었는데 포드의 공장에서는 동력기를 달아 자동으로 컨베이어 벨트가 움직인다는 것뿐이었ㄷ. 실제로 분업으로 일하는 방식은 오래 전부터 존재해왔다. 결국 산업사회의 혁명을 가져온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도 도축장의 '온고를 자동차 생산의 지신한 더분에 만들어 진 것이다.


모방은 베끼기가 아니 온고이다. 모방의 첫째 정의인 '다른 것을 본뜨거나 본받음'에서 본받음이라는 것이 본질이 아닐까? 베끼기가 아닌 본받음은 자신만의 창조를 요구한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