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

이 한 문장을 처음 발견했을 때 홀로 탄성을 질렀다. 그 이후로 머리 속에 각인되어 항상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항상 어떤 행동을 하기 앞서 다시 한 번 되뇌이는 말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머리 속에 각인된 문장 속을 채워주는 새로운 물음을 만났다.

바로 "내 생각은 어떻게 내 것이 되었을까?" 라는 질문이었다. 

나는 생각하는 대로 살려고 하는데, 그 때 내 생각은 어떻게 만들어 진 것인가? 

혹시나 믿고 있던 내 생각이 주체적인 내 생각이 아닐지도 모르겠다는 불안감이 엄습해오기도 한다.


홍세화의 『생각의 좌표』는 바로 이 물음에 대한 답을 하나씩 찾아가는 책이다. 개인적으로『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의 똘레랑스에 대해서 인상깊게 읽은 다음에 만난 그의 두번째 책이도 하다. 


과연 내 생각은 어떻게 내 것이 되었을까?


p24

네 경로(독서, 토론, 직접견문, 성찰)를 통해 갖게 된 생각은 주체적인 반면, 제도교육과 미디어를 통해 갖게 된 생각은 주체적이지 않다. 독서와 토론, 직접견문과 성찰은 내가 주체적으로 행하는 것이지만, 제도교육과 미디어에서 나는 주체로 존재하지 않으며 오로지 객체이며 대상일 뿐이다. 세상 사람들 중 책을 읽는 사람은 절대적으로 소수다. 문제는 과거에는 책을 읽지 않은 사람은 스스로 무지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오늘날엔 책을 읽지 않아도 스스로 무지하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는 점에 있다. 과거와 달리 오늘날엔 제도교육이 보편화되었고 미디어가 사람들의 일상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책을 읽지 않아도 사람들의 의식세계는 빈 채로 남아 있지 않고 채워진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방법의 차이가 아니고 주체적이냐의 잣대가 기준이 된다는 점이다. 혹여나 제도교육과 미디어를 통해서 바람직하고 주체적인 자의식을 만들어 낸다면 그 역시 좋다고 생각된다. 매체와 방법은 분명 위에 제시한 것 외에도 많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위에 언급된 구분은 어느 정도 개인적으로 공감이 된다.


제도교육과 미디어를 접했을 때를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생각해본다면 한 마디로 '노력없이 그저 받아들인다' 라고 설명하고 싶다.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된다. 분명 미디어와 제도교육도 긍정적인 효과는 있겠지만 노력없이 무비판적으로 정보를 수용하고 뇌리에 박히게 만들어버린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이렇게 익숙해진 우리는 스스로 질문을 할 줄 모른다. 스스로 문제의식을 갖는 것에 서툴기에 누군가 문제를 만들고 거기에 대한 해답을 갖고 있기를 원한다. 그리고 우리는 그 해답만을 쫓는다. 


P192

20대에 반나치 투쟁에 참여했다고 붙잡혀 수용소에서 죽을 운명이었으나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은 프리모 레비는 일흔 살을 앞두고 끝내 자살을 선택했다. 그는 이런 말을 남겼다. "괴물이 없지는 않다. 그렇지만 진정으로 위험한 존재가 되기에는 그 수가 너무 적다. 그보다 더 위험한 것은 평범한 사람들이다. 의문을 품어보지도 않고 무조건 믿고 행동하는 기계적인 인간들 말이다."


이 말은 섬뜩하기까지 하다. 내가 어쩌면 가장 위험한 인물인지도 모른다.

지금 나를 둘러싼 환경이 어떠한지, 내가 어떤 위치에 서 있는지 모른채 세상에 무심함을 가지고 산다는 게 얼마나 나를 위험한 존재로 만드는지 모른다. 의문을 품을 줄 알아야 한다. 세상을 호기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 세상에 어떤 것도 우리가 그대로 수용해야 하는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모든 것은 다른 누군가의 생각의 결과물이다. 그 생각의 결과물에 우리도 과감히 우리의 생각을, 의문을, 질문을 품을 수 있어야 한다.


처음에 언급된 주체적으로 얻게 된 생각의 경로인 독서, 토론, 직접 견문, 성찰을 다시 생각해보고 싶다.

이중 독서는 어느 정도 실천에 옮기고 있지만 나머지 부분은 조금 더 신경써야 할 부분이다. 

토론은 최근에 기회가 되어서 몇 번 할 수 있었는데 내 생각이 얼마나 고정되어 있었고, 좁은 울타리를 벗어나지 못하는지 뼈저리게 깨달았다. 사람들마다 의견이 얼마나 다른지 이렇게 글로는 쉽게 표현할 수 있지만 실제 경험에서 오는 자극과 충격은 상당하다. 나머지는 직접 견문과 성찰인데 예전부터 고민해오던 부분이다. 하지만 시간의 부족이라는 핑계로 모면해버린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별도로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야 겠다.


"내 생각은 어떻게 내 것이 되었을까?" 라는 물음에 대한 고민의 생각을 가지게 하는 이 책을 읽고 나니, 다시 한 번 읊게 된다. "생각하는 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