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고의 공부 No, 나만의 공부 Yes 


나는 어린 시절에 대한 기억을 잘 하지 못하는 편이다. 그런데 '책'에 대해서 몇 가지 생각나는 것들이 있다. 이유는 잘 모르겠는데 어린이들이 읽는 위인전 중에 내가 가장 많이 읽은 책은 '한석봉' 이었다. 아직도 얼핏 기억나는게 한석봉이 마른 바위를 종이 삼아, 시냇물의 물을 먹으로 삼아 글을 쓰고, 땅 위에 나뭇가지로 글을 쓰는 그림들이 생각나는 듯 하다. 그리고 제목은 잘 기억은 나지 않지만 여러 분야를 만화로 설명해주던 전집이 있었다. 중학교 때는 돈이 조금씩 생길때 마다 당시 조금 거리가 있었던 서점으로 달려가 한 권 한 권 모은 책이 있었다. 지금도 이 책은 사람들에게 빌려주고 나면 꼭 다시 찾아오는 책이다. 어렸을 때의 그 기억에 꼭 간직하고 싶은 책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이문열의 '삼국지' 다. 


생각해보니 어렸을 때 부터 책을 좋아하긴 했었던 거 같다. 그 재미는 한참 동안 끊어져 있었다. 하지만 아쉬우면서도 다행스럽게 서른 살이 되던 해에 끊어진 끈을 다시 엮을 수 있었다. 갑작스럽게 책의 맛을 알게 되었고, <아라비안 나이트> 페르시아의 왕 샤리아르가 세헤라자드의 이야기에 빠져들어 하루 하루를 지내듯이 소설 속의 이야기 속에 흠뻑 젖어들곤 했다. 출퇴근 버스에서 "독서등 좀 켜 주세요!' 라고 말을 하기도 하고, 휴대용 독서등도 사기도 했다. 마지막 남은 몇 장이 너무 궁금해서 화장실에서 나머지를 읽고 회사로 들어가기도 했다. 어떤 책은 버스에서 내려서 집으로 걸어가는 동안 손에 잡고 있기도 했다. 그렇게 5년이라는 시간이 나에게 지나왔다. 그리고 많은 것이 바뀌었다. 이제는 재미를 위해 읽었던 책에서 나름의 열매를 맺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피상적인 것을 바라보았던 그 동안과는 다른 새로운 방법을 원했다. 그리고 그것이 내 삶의 공부가 되기를 바래 본다.



얼마 전에 한 일 년 정도 책장에 묵혀두었던 켄 베인의 『최고의 공부』를 읽었다. 그리고 나서 '앞으로 내 삶을 위한 '최고의 공부'를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라는 생각이 들었고, 노트 위에 '최고의 공부'라고 적고 내가 생각하는 '공부', 앞으로 어떻게 책을 읽어나갈지를 생각해보았다.

'인성함양', '재미있게', '통합적으로', '연결,융합,확장', '다양하게', '체계적,계획적,방법론적', '성과있게' 라는 말들이 떠올랐고 선으로 연결해 둔다.

'앞으로 어떻게 공부를 할까?' 이 말은 곧 '어떻게 살아갈까?'로 이어진다. 지금까지의 생각을 정리해 본다. 


첫번째는 무엇보다도 '재미'다. '평양감사도 저 싫으면 그만이다' 라고 하지 않던가.

내가 좋아하는 것부터 시작하자. 내가 좋아하는 목록들을 하나씩 적어두고 거기서 부터 시작하자. 그리고 내가 흥미가 떨어졌을 때 스스로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방법을 하나씩 찾아볼 필요가 있다. 

최근에 아침마다 듣는 음악이 있다. '차이코프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이다. 그런데 나는 클래식에 대해서 문외한이다. 예전에 박웅현의 『여덟 단어』를 통해 알고 처음으로 들었는데 다른 음악들이 아무리 좋아도 어느 정도 반복해서 들으면 지겨워지는데 이 곡은 들을 때 마다 감동이고 조금 더 자세히 듣고 싶어서 눈을 감게 된다. 그런데 나는 어떤 소리가 어떤 악기에서 나오는지, 각 악장의 의미, 구성 정보같은 것들은 하나도 모른다. 단지 소리가 좋아서 듣는다. 이런데서 부터 파생해야 할 거다. 차이코프스키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가 살던 러시아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협주곡은 무엇인지, 이 음악이 말하고자 하는 건 무엇일까 라던지 부터 하나씩 알아갈 생각이다. 그렇게 시작해볼 생각이다.


두번째는 '인성함양' 이다. 모든 것의 기본은 인성으로 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을 생각할 줄 아는 마음과 배려할 줄 아는 마음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항상 부족하지도, 과하지도 않게 '중용'을 지키는 삶을 살아가고 싶은 생각이 있다. 하지만 '중용'을 회색분자로 잘 못 생각해서는 안 된다. 나만의 의지는 분명히 반영되어야 한다. 부드럽지만 강인하게, 매섭지만 아프지 않은 사람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세번째는 '다양하게 연결, 융합, 확장' 이다. 지금까지는 주로 책이라는 매개를 통해서 정보를 얻어 왔고 재미를 찾았다. 그런데 이제는 조금 더 그 매개를 넓혀서 오감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음악을 듣고 기사를 찾고 다큐멘터리도 보고, 마음에 드는 영화감독을 찾으면 그 감독의 전작을 탐해 보기도 하자. 장르에 상관없이 매체에 상관없이 다가가고, 경험하자. 그리고 하나씩 내가 좋아하는 음악들, 좋아하는 영화들의 목록들을 쌓아가자. 그렇게 하나씩 다른 분야에도 매니아가 되는 거다. 나중에는 내가 서평이 아닌 음악평과 영화감상평을 쓰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본다.


네번째는 '통합적으로' 다. 세번째와 맥을 같이 한다. 어떻게 보면 내가 생각하는 공부의 궁극의 목표이기도 하다. 통합적으로 공부해서 통찰력을 얻는 것이 내가 생각하는 공부이다. 조선후기 박지원의 <허생전>에 보면 집 안에서 10년 공부를 목표로 글만 읽던 허생이 가난에 찌들고, 아내의 등살에 밀려 세상에 나온다. 그리고 장안의 한 부자를 찾아가 돈을 빌려 그 밑천으로 장사를 해서 큰 부자가 된다. 허생이 누가 보면 배포있는 장사꾼 기질이 있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그가 세상을 바라보는 통찰력을 얻었기에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통찰력을 얻을 수 있고, 어떻게 하면 통합적으로 공부할 수 있을까?


책을 읽더라도, 무엇을 하더라도 단편적으로 지나가서는 안 된다. 궁금한 단어가 있으면 찾아보고, 모르는 내용이 있으면 연계되는 것들을 찾아보자. 항상 '왜?'라는 의문을 가지고,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일까?', '그가 하는 말이 타당한가?', '내 생각은 어떤가?' 와 같은 질문을 품으면서 비판적인 자세를 열어두어야 한다. 그러다 보면 하나의 주제에 대한 파장이 생겨나고, 다른 주제를 공부하게 되면 또 다시 다른 파장이 생기게 될 것이다. 그 두 파장이 만나게 되는 순간이 올 것이다. 그때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다섯번째는 '체계적, 계획적, 방법론적' 이다. 내가 어떤 공부를 통해서 얻은 것이 있을 때 그것을 시간이 지나고 다시 나에게 상기시켜줄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내야 한다. 더불어 누군가에게 알려주고 싶을 때 듣는 이에게 조금이라도 쉽고 효과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한다. 여기에는 분명 '감동, 재미, 지식' 중에 하나는 포함되어 있어야함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서는 내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일종의 Tool 이나 방법론을 스스로 찾아보아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책을 읽어보면서 접한 '심리테스트' 혹은 '개인 역량 강화'를 위한 계획표 같은 것도 상관없다. 이런 것들을 하나씩 모아 보고, 나에게 맞는 것을 스스로 만들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언제 어디서든 활용가능하게 관리, 보관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자.


여섯번째는 '성과있게' 다. 스스로를 위한 공부든, 회사 업무를 위한 공부든 어떤 가시적인 보상이 있어야 더 재미를 느끼게 된다. '보상'에 얽매여서는 안되지만, 사람의 특성 상 어쩔 수 없이 중요한 부분이다. 페이스북에 사진을 올려두고 늘어나는 '좋아요'를 바라보며 무흣하게 바라보는 것과 같은 심리일 것이다. 블로그에 적어두고 사람들이 읽어주는 재미가 그 보상이 될 수도 있다. '개인 책 출판', '업무에 관련된 자격 취득' 과 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이루어나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겠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중간 중간에 스스로 보상받을 수 있는 작은 성과들을 배치하고 그것을 하나씩 하나씩 각개격파하면서 만족감을 얻어야 한다. 


이 방법들이 '최고의 공부'를 위한 방법은 아닐지도 모른다. 하지만 하나씩 켜켜이 쌓아나가고, 내 몸에 맞는 방법들을 하나씩 찾아보자. 그러다 보면 최고의 공부는 되지 못하더라도 나에게 맞는 공부를 찾아갈 수 있지 않을까 자문해본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