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이 그림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모자',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 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아니면 '모자를 삼킨 보아뱀' 인가요.

<어린왕자>에서는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으로 이 역시 쉽사리 사람들은 알아채지 못합니다. 이제는 많은 이들이 저 그림을 보면 자연스레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이라고 말합니다.


이제는 <어린왕자> 속에서 나오셔야 합니다. 각자 만의 답을 찾아야 합니다. 우리는 어느 순간부터 어떤 질문에는 분명히 답이 존재하고 그것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일치를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속에서 갈등이 자연스럽게 생겨나고 획일적인 사고가 굳어집니다.


하나의 답만 있는 경우, 만약 그 답이 틀리면 그 답을 섬기고 따라가던 사람들이 모두 오류의 낭떠러지에 설 수도 있습니다. 이때 단 한 사람이라도 다른 의견을 내놓는다면 함께 망하는 길은 피할 수 있을 겁니다.


그림에 대한 각자 만의 답을 찾기 위해서는 자기 나름의 질문이 있어야 합니다. '이 그림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질문에서 이야기가 시작되었듯이 우리는 질문을 이어가야 합니다. 





철학은 질문에서 시작된다.


탈레스는 새로운 질문을 던졌기 때문에 '철학의 개척자'로 평가받습니다.

그때까지는 "이 세계를 '누가' 만들었을까?" 하고 물었죠. 그런데 탈레스는 "이 세계는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 하고 묻습니다. 그때까지 우리는 세계를 누가 만들었는지에 대한 답을 제우스나 하느님이라고 했죠. 그런데 '누가'가 아니라 '무엇'이라고 물으면 답이 달라지죠. 답이 달라진다는 이야기는 생각하는 방향과 대상이 바뀐다는 것입니다.


이런 사고의 발걸음들이 모여서 결국 '원자론'을 제안하는 것에 이릅니다. 현대물리학의 중요한 가설이기도 한 원자론이 바로 탈레스로부터 시작된 질문에서 나왔다는 점이 신기하지 않나요?


플라톤은 이러저러하게 변하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무엇인가?' 를 물었고, 근대 철학을 정초한 데카르트는 의심할 여지가 없는 '가장 확실한 것은 무엇인가?' 라고 물었죠. 칸트는 '우리는 어떤 조건에서 알 수 있는가?'를 물었고, 니체는 '선과 악은 어떻게 만들어졌고, 누가 만들었는가?'를 물었죠. 이런 질문들이 철학의 거대한 물줄기를 바꿔 놓은 질문들입니다.


어떻게 하면 철학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을까?


철학에 대해서 관심이 조금 생겼는데,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대학 때 교양으로 <서양사상의 이해>라는 수업을 들었었는데, 그 당시에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계몽이란 무엇인가> 에 대해서 배운 기억이 어렴풋이 납니다. '수업을 잘 못 신청했구나. 이건 아닌데' 하는 생각이 들었었습니다. 여전히 어떤 사상가로 시작해보려는 시도는 하지만 앞에 몇 장 읽다 보면 '아직 힘들구나!' 하는 자괴감에 빠집니다. 


아직은 철학책이 저에게는 히말라야 같은 높은 산입니다. 연습이 필요합니다. 근처의 낮은 산을 한 번 올라봐야 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철학에 입문하기 좋은 책은 어떤 것이 있을까 찾고 또 찾았습니다. 그러다가 찾은 것이 피노키오의 철학 <피노키오는 사람인가, 인형인가?> 입니다. 전체 4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철학자 위주로 설명하기 보다는 특정한 주제를 설명하면서 여러 철학자들의 이론을 등장시키면서 이야기를 풀어냅니다. 살짝 개괄하면서 다리 근육이 보이지 않지만 조금씩 생기듯이 그렇게 책력이 조금씩 쌓이기를 희망할 뿐입니다.


'어떤 것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지 한 번 해보자. ' 하는 생각을 해보지만 쉽게 어떤 분야로 관심을 쏟기는 쉽지 않습니다. 자연스럽게 이동시켜주는 책을 만나면 정말 행운입니다. 저는 그런 책을 'Trigger Book' 이라고 부릅니다.

최근에 읽고 있는 <달과 6펜스>는 화가 고갱에 대한 소설인데, 책에 빠지면서 자연스럽게 고갱에 대해서 관심이 생기고 그의 그림까지 알게 되었습니다. 

<피노키오는 사람인가, 인형인가?>는 <달과 6펜스> 처럼 다른 분야로의 Trigger는 아니지만 질문 속에서 철학으로 확장시켜주는 그런 책입니다. 


피노키오는 사람인가, 인형인가? 라는 질문에 답을 하면서 인간 본성에 대한 질문을 하게 하고, 프로이트의 의식, 무의식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이 됩니다. 과학적 명제로서 귀납법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고 플라톤의 이데아에 의문점을 남깁니다.


아직은 철학에 대해서는 감이 제대로 잡히지는 않습니다. 어떻게 접근하고 알아갈지는 그저 부딪혀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어렵게 얻은 것일 수록 더 오래 남고 소중하게 간직된다는 점을 경험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철학은 질문에서 시작된다고 했으니 저 역시 그 방법으로 시작해야 겠네요.
'어떻게 하면 철학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을까?'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