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에게 배운 것은 한계가 있게 마련이지만 스스로 터득한 것은 그 응용이 무궁한 법이다.  더구나 곤궁하고 어려운 일은 사람의 심지를 굳게 하고 솜씨를 완숙하게 만드는 법이다. " (p86)


배움을 위해서라면 나이 어린 자식에게 배우는 것조차 마다하지 않는 학구적 자세가 그것이다. 남 앞에 머리 숙이고 배운다는 것은 말로는 쉽지만 자신이 직접 수행하기는 정말 어려운 일이다. 이것을 아버지는 가장 극적인 방식으로 내게 가르쳐주신 것이다. 아마 예수가 자기 제자들의 발을 씻어준 사례가 이와 비슷한 일일 것이다. (p125)


"물리학 전체에 대해, 그리고 이와 연결해 개별과목에 대해 그것이 담고 있는 핵심적 내용이 무엇일까를 깊이 생각하고 그 잠정적 결론을 자기 언어로 서술하라. 그리고 학습이 진행되는 대로 이것에 대한 수정, 보완을 수행해 나가되 그 핵심은 반드시 유지하라. 이렇게 할 경우 설혹 시간을 많이 들이지 않더라도 핵심은 항상 파악할 수 있으며 이것만으로도 최소한의 학점관리를 해나갈 수 있다." (p159)


책 한 권만 잘 읽으면 된다고 이야기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것을 120퍼센트 이해하라고 했다. 여기서 120퍼센트라는 것은 저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20퍼센트까지 더 얹어 이해해야 한다는 말이다. 이것은 자기가 주체가 되어 학습해야 한다는 것으로, 이후 내 학습에 도움이 많이 되었다. (p161)


더 이상 역사는 열정만으로 움직여지지 않는다. 지성만으로도 움직여지지 않는다. 목숨을 아끼지 않을 열정과 함께 역사를 꿰뚫어보는 혜안이 요청되는 것이다. 그런데 나는 과연 그 일을 감당할 뜨거운 가슴과 냉철한 지성을 함양시켜 왓는가? 그리고 이것을 통해 역사를 살아가고 있는가? 아직도 그는 내 속에서 부활하지 못하고 있다. 올해도 그의 얼굴은 내 마음 깊숙한 곳에서 외치고 있다. 나를 부활 시켜라. (p184)


학문의 세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처음부터 나는 무슨 학문을 하겠다. 어떠한 문제를 풀어보겠다 하고 생각한 뒤 학문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다. 그저 우연한 흥미에 따라 학문을 시작하고 보니 자기가 하고 있는 학문의 내용이 점점 명확하지고 또 자기가 추구하고 싶은 문제도 더 뚜렷해지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계획을 미리 하고 싶어도 학문의 내용을 어느 정도 알고 있지 않으면 계획 자체가 가능하지 않다. 그렇기에 학문을 해나가면서 물음을 던지는 일 자체가 이미 학문에 크게 한 걸음 들어 선 것이다. (p203)


- 장회익, 『공부도둑』 中 -



책 한 모금을 건지려 서재의 책을 뒤적이다가, 오래 전에 읽은 장회익 선생의 『공부 도둑』을 손에 잡았다. 예전에 읽고 형광펜으로 줄이 쳐진 부분 만을 골라서 읽어보았다. 한 모금만 마시려는 게 나도 모르게 금새 빠져버려서 여러 부분을 다시 발췌해서 남겨 본다.


'무언가를 배우는 것에 대해서는 시기가 늦은 것은 없다' 라는 점을 나 자신에게 다시 상기시킨다. 그리고 '배우기 위한 것은 부끄러운 것이 아니다' 라는 점을 항상 명심해두려고 한다. 앞으로 살면서 스스로 수 많은 공부를 하게 될 것이다. 항상 배우는 자세, 겸손한 자세로 배워야 한다는 것을 가슴 속에, 그리고 뇌리에 새겨두자.


그리고 어떤 분야에 대해서 공부를 하던지 간에, 무언가 깊이 파고들어갈 필요가 있다. 처음에는 어쩔 수 없이 양적인 투자를 할 수 밖에 없다. 양적인 투자를 하지 않으면 전체적인 윤곽과 틀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스스로 자신이 하는 공부에 대해서 감을 잡아야 한다. 그렇게 틀을 만들어 놓은 다음에 하루 하루 조금씩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고, 틀렸던 부분을 고쳐나가야 한다. 그리고 파고 들어 가자. 


배움에는 늦은 시기가 없다. 배움을 게을리 하지 말고, 제대로 배워서 내 것을 만들고, 제대로 배워서 올바르게 행동하자. 

지식 만을 쌓아가는 배움이 아닌 지혜와 삶을 쌓아가는 배움, 함께 나눌 수 있는 배움을 위해서 다시 한 번 공부하자.~^^

반응형


문학은 사회문제, 철학, 역사, 경제, 정치, 모든 것을 포용합니다. 문학이란 삶에 관한 것입니다. 그 점은 다른 학문과 같습니다. 철학이나 경제, 역사 모두는 삶을 기초로 논리를 세우고 제도를 만들며 진실을, 혹은 사실을 기록하는 거 아니겠습니까. 모든 학문은 삶이 현장이며, 삶은 모든 학문의 기초입니다. 그러나 삶의 총괄적인 것을 다루어야 하는 문학은 어떠한 부분, 어떠한 분야도 수용해야 하지만 그 것은 실체가 아니며 사실도 아니라는 점, 그러면서도 진실을 추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 해서 소설을 창작이라 한다는 것을 먼저 말해 두고자 한다.


- 박경리, 『문학을 사랑하는 젊은이들에게』 中



문학은 삶의 총괄적인 것을 다뤄야 합니다. 하지만 실체도 사실도 아닙니다. 그렇지만 진실을 추구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저는 문학 중에 특히 소설을 좋아합니다. 여러 소설을 읽다 보면 수많은 등장인물들이 소설 속에서 저마다의 삶을 살아갑니다.

허구라는 그 속에서 허구적이지 않은 삶들을 살아갑니다. 이런 인물들의 삶을 천천히 지켜봅니다.

그러다 보면 감수성이 생겨납니다. 그들의 삶에 대해서 충분히 공감을 할 수 있게 되는 거죠.

이것이 문학의 힘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이 문학을 읽어야 하는 이유죠.



반응형
반응형